빛으로 단백질 합성 조절…암세포 전이 등 질병 연구 기여

 빛으로 세포 내 단백질 합성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인지및사회성연구단 허원도·이상규 연구위원 연구팀이 빛을 이용해 '전령RNA'(mRNA)의 이동과 단백질 합성을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전령RNA는 DNA의 유전 정보를 단백질로 전달하는 RNA의 일종이다.

 세포소기관인 리보솜은 전령RNA의 유전 정보를 읽어 단백질을 합성한다.

 연구팀은 살아있는 세포에 청색광을 비춰 세포 내 특정 전령RNA의 이동과 단백질 합성을 특이적으로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술을 개발했다.

 'mRNA 라리아트'라 명명한 이 기술은 빛의 유무에 따라 라리아트 올가미에 전령RNA를 가두거나 분리한 뒤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다.

 모델 암세포인 헬라 세포(Hela cell)에 청색광을 비추면 전령RNA가 라리아트 올가미에 갇히면서 리보솜과 격리돼 단백질 합성이 감소하게 된다.

 다시 청색광을 차단하면 전령RNA가 라리아트 올가미에서 빠져나와 리보솜과 함께 단백질 합성을 다시 시작하게 된다.

 연구팀이 실제 세포골격 단백질인 '베타액틴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전령RNA에 청색광을 비춘 결과 세포 골격 형성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또 베타액틴 단백질의 합성 효율이 최대 90%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허원도 교수는 "암세포, 신경세포 등 다양한 세포 내 전령RNA 이동과 단백질 합성을 조절함으로써 암세포 전이, 신경질환 등 관련 질병 연구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Nature Cell Biology) 지난 18일 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학연·경희의료원, 과민대장증후군 진단키트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은 박기선 박사 연구팀은 최근 경희의료원 김진성·하나연 교수팀과 공동으로 과민대장증후군 진단키트 시제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과민대장증후군(IBS)은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복통, 설사 또는 변비가 나타나는 난치성 위장장애로, 방치할 경우 만성 장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기 치료가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 과민대장증후군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질병의 진행 정도를 진단하는 생물학적 지표)가 개발되지 않아 환자의 병력에 의존하거나 증상을 바탕으로 진단할 수밖에 없었다. 연구팀은 혈액 속 엑소좀을 바이오마커로 활용해 진단키트 시작품을 제작했다. 엑소좀은 체내 세포가 정보 교환을 위해 분비하는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세포외소포로, 환자의 병리적 상태를 판단하는 지표가 된다. 정상군과 과민대장증후군 환자 각각 30명씩 혈중 엑소좀을 분리한 뒤 마이크로RNA(생물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RNA, 즉 리보핵산의 일종)를 분석, 14종의 마이크로RNA 가운데 만성 장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6종을 바이오마커로 개발했다. 시제품 키트를 활용해 예후를 판단할 수 있고, 증상의 중증 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고 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비만치료제 오젬픽류, 소규모 임상서 알츠하이머 완화 효과"
비만치료제로 사용되는 오젬픽류의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약물이 200명 규모의 작은 임상실험에서 치매로 알려진 알츠하이머병을 완화하는 효과를 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 CNN과 NBC 방송 등에 따르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알츠하이머협회 국제콘퍼런스에서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신경과학 교수인 폴 에디슨 박사는 이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에디슨 박사팀의 임상실험은 주로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로 구성된 20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들 중 GLP-1 작용제의 일종인 리라글루타이드를 투여받은 환자들은 위약을 투여받은 집단과 비교해 1년 후 인지기능 저하가 18%가량 느려진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 약물은 기억력과 학습,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뇌 부위의 수축을 거의 50%가량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뇌의 수축은 치매·알츠하이머 환자의 심각한 인지기능 저하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실험에는 연구를 시작할 당시 시판된 노보 노디스크의 당뇨병 치료제 빅토자(이하 브랜드명)와 비만치료제 삭센다가 이용됐으며, 매일 주사로 투여됐다.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알츠하이머협회의 최고 과학 책임자 마리아 카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