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류·콩 등의 아미노산, 장 미생물 거치면 심혈관 건강 위협"

장 세균, 페닐알라닌 분해 → 심혈관 질환 유발 '부산물' 생성
미 클리블랜드 클리닉 연구진, 저널 '셀'에 논문

 필수 아미노산의 하나인 페닐알라닌(Phenylalanine)은 여러 음식물에 들어 있다.

 각종 식물은 물론 동물의 단백질 섭취원인 육류와 대두 등에서도 발견된다.

 이 페닐알라닌이 장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 심장 질환 위험을 높이는 부산물로 바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약칭 PAG(phenylacetylglutamine)라는 이 부산물은 혈류를 타고 이동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심근경색(심장마비) 같은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비영리 학술 의료 센터인 '클리블랜드 클리닉(Cleveland Clinic)'의 스탠리 헤이즌 박사팀은 이런 내용의 논문을 5일(현지시간) 저널 '셀(Cell)에 발표하고, 별도의 논문 개요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했다.

 이 센터 산하 러너 연구소의 심혈관·대사 질환 부문 책임자인 헤이즌 박사는 "특히 심장 질환과 연관된 신체 건강에 장의 미생물이 관여한다는 데이터는 많이 축적돼 있다"라면서 "이번 연구에선 혈중 PAG 수위에 따라 심혈관 질환에 영향을 주는 패턴이 다르다는 걸 발견했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지난 3년간 환자 5천여 명의 혈액 샘플을 분석해, 혈중 PAG 수치가 높으면 심근 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 위험도 커진다는 걸 확인했다.

 그 자체로 심혈관 질환의 위험 요인 중 하나인 2형 당뇨병 환자에게도 PGA는 똑같은 작용을 했다.

동맥이 손상된 동물 모델 실험에서 PAG는 혈소판 반응도와 혈액 응고 가능성을 함께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는 특히 심장 질환에 많이 처방되는 베타 차단제(beta blocker)와 결합 수용체를 공유해 관심을 모았다.

 PAG 수치가 높은 동물 모델에 베타 차단제를 투여하면, PGA가 심혈관계에 일으키는 증상이 역전됐다.

 또한 유전자 편집으로 PAG 수용체 신호를 차단하면 혈액 응고가 큰 폭으로 줄었다.

 헤이즌 교수는 "베타 차단제의 효과는 부분적으로, PGA가 관여하는 작용을 막는 데서 온다"라면서 "베타 차단제는 임상에서 널리 쓰이는 약이지만, 그 효과가 생기는 메커니즘을 일부라도 설명한 건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비대면 진료시 '위고비' 오남용 없도록" 병원에 당부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는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자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 오남용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위고비 처방 시 충분한 진료를 통해 대상 환자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문을 대한병원협회를 통해 각 병원에발송했다. 위고비는 비만 환자의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환자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정부는 물론 의료계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이러한 경고에도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살피지 않은 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위고비를 처방하는 등 오남용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복지부는 "(위고비를) 다이어트 목적으로 쉽게 처방받을 수 있다고 환자가 오인하게끔 홍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면 진료 시 의약품 오남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위고비 처방 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을 준수하고, 담낭 질환이나 췌장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사전에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 위고비는 국내에서 BMI 30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BMI 27 이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