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5일 조간)

▲ 경향신문 = 김건희 특검법 세번째 통과, 윤 대통령 '성난 민심' 직시해야

금세 거짓 들통난 '대통령실 골프 해명', 부끄럽지 않나

의대 증원으로 커진 '대입 혼란' 최소화해야

새 주한 중국 대사, 한·중 관계 개선의 가교 역할 기대

▲ 동아일보 = 감당 어려운 의대 증원에 N수생 최다… 초유의 혼란 속 수능

곳간 빈 尹 정부의 갑작스러운 "양극화 타개"… 돈은 어디서

당 게시판에 '韓·가족' 동명의 尹·金 비방글 논란… 참 괴이한 일

▲ 서울신문 = '그냥 쉬는' 아들딸 42만명… 계속 숫자만 세고 있을 텐가

뒤늦은 간첩법 개정, 대공수사 역량도 복원해야

윤미향 유죄 확정에 4년… 이런 재판 지연 또 없기를

▲ 세계일보 = 야당에 비토권 부여한 '김건희 특검' 공정하다 말할 수 있나

윤미향 임기 끝나고 의원 상실형, 이러니 사법 불신 커지는 것

혁신기업인에 정부개혁 맡긴 트럼프, 규제 역주행 한국

▲ 아시아투데이 = '김 여사 특검법·특감' 등에 당정 화합 이어가야

간첩죄 범위 확대, 기술 안보 출발점 되길

▲ 조선일보 = '주주 충실' 상법은 부작용 우려, 소액주주 위한 다른 길 찾아야

6개월 전 임기 끝난 윤미향에 당선무효형, 재판 아닌 희극

국민 돈 예산 갖고 마음대로 정치 공격, 선심 쓰기

▲ 중앙일보 = 강경파 일색 트럼프 2기 외교·안보 진용, 불확실성 대비를

임기 다 마친 뒤에야 확정된 윤미향 의원직 상실형

▲ 한겨레 = 트럼프 2기 외교·안보팀 윤곽, '가치' 아닌 '실리' 내세워야

특감으로 '김건희 특검' 막겠다는 여권, 민심은 안 무섭나

의협 비대위, 내분 딛고 의정갈등 해소 리더십 발휘해야

▲ 한국일보 = '트럼프 스톰'에 휘청 한국 경제, 지금처럼 하면 길 없다

야 '김건희 특검법' 세 번째 처리… 여 '보이콧' 능사 아니다

북러밀착 속 급 높인 주한 중국대사… 관계 개선 속도를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주가·원화값 나홀로 추락, 발상의 전환 왜 못하나

중처법 시행 2년9개월… 역기능 따져볼 시기됐다

▲ 디지털타임스 = '이사 충실의무 확대' 상법 당론 巨野… 기업 탈한국 부추기나

국내 보안시설 몰래 드론 촬영한 중국인, 간첩죄로 엄벌해야

▲ 매일경제 = 당국 개입까지 부른 트럼프 패닉, 실물경제 전이 대비를

의원 임기 다 채우고 유죄 확정, 해도 너무한 사법지연

N수생 16만명, 이런 국가적 낭비가 있나

▲ 브릿지경제 = 중국차 BYD 진출, 국산 전기차에 '겹악재' 안 되길

▲ 서울경제 = 트럼피즘 '속도전' … 경제·안보 태풍 막을 방파제 신속히 쌓아라

모처럼 움직이는 국회, 반도체법 등 경제 활성화 입법 속도 내야

李 재판부, 압박에 흔들리지 말고 법리 따라 공정하게 판결하라

▲ 이데일리 = 트럼프 리스크로 금융시장 '풀썩'… 신호 의미 잘 새겨야

뚜렷해진 고용 둔화세, 내수 침체 놔두곤 회복 어렵다

▲ 이투데이 = PF 구조개선, 연착륙 가능하게 정교한 집행을

▲ 전자신문 = 혁신은 도전에서 나온다

▲ 파이낸셜뉴스 = 인격 말살 불법사금융 왜 판치게 놔두나

머스크에 정부개혁 맡긴 트럼프 용인술 배울 만

▲ 한국경제 = 용인 반도체 송전망 협상 타결, 산업부·한전 용단 빛났다

전공의 지지로 당선된 의협 비대위원장, 강경 주장에 휘둘리면 자멸

국감 불참했다고 "국방장관 출장비 삭감", 민주당의 예산 갑질

▲ 경북신문 = 이철우 도지사, 주낙영 시장 페루 순방… 왜?

▲ 경북일보 = 빗장 없는 철강산업…현대제철 포항2공장 폐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교육부 의대교육자문단, 공식 출범…"다양한 현장 의견 반영"
교육부의 의대 정책 자문기구인 의대교육자문단이 1일 출범한다. 교육부는 이날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의대교육자문단 첫 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지난 3월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그간 파행한 의대교육 내실화를 위해 의대교육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별도 자문기구를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문단은 의학교육계 5명, 의과대학(원)생 5명, 의료계 3명, 법조계 1명, 언론계 1명, 정부 2명(교육부·보건복지부) 등 총 17명으로 꾸려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자문단 활동 방향과 향후 운영 계획은 물론 의대 교육혁신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이 공유된다. 교육부는 "의학교육 당사자들이 자문단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며 "소통과 협력을 통해 현장 적합성이 높은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교육부는 향후 자문단의 의견을 바탕으로 관계 부처 및 전문가와 논의해 의료 인력 양성 과정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의대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라며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는 데 자문단이 중추적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밝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