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 피부염, 피부 재생 메커니즘 이상으로 생긴다"

각질 형성, 줄기세포 분열 제어하는 유전자 변이가 원인
미 록펠러대 연구진, 저널 '사이언스'에 논문

  인체의 1차 방어선인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 세 층으로 구성된다.

 이 중 중층편평상피로 구성된 표피는 안쪽부터 기저층, 유극층, 과립층, 각질층으로 나뉜다. 여기에 덧붙여 손바닥, 발바닥 등의 두꺼운 피부에는 투명 층이 따로 있다.

 표피세포가 오래되면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채워져 단단한 각질로 변한다. 이렇게 죽은 표피세포가 밀착 결합해 형성한 각질층은 우리 몸을 지키는 '장벽' 같은 역할도 한다.

 결국엔 각질도 떨어져 나가, 싱싱한 새 세포의 보충이 필요하다. 그래서 표피의 기저층 줄기세포가 분열하고 성장해 피부 표면 쪽으로 이동하는 대체 과정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것이다.

 피부가 기온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맞춰 각질층을 형성하고, 동시에 기저층 세포 분열을 자극하는 세포 재생 메커니즘을 미국 록펠러대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이 메커니즘에 이상이 생기면 왜 아토피 피부염이나 건선(psoriasis) 같은 난치성 피부병이 생기는지도 확인했다.

 록펠러대의 일레인 푸치스 석좌교수팀은 이런 내용의 논문을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하고, 별도의 논문 개요를 14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했다.

 푸치스 교수는 피부와 피부 질환의 분자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 권위 있는 세포 생물학자다.

 표피 기저층의 줄기세포에서 분열한 세포는 주기적으로 표면을 향해 이동한다. 이때 줄기세포는 분열을 일시 중단한다.

 가혹한 외부 환경을 견디며 바깥쪽으로 옮겨가던 세포가 피부 표면에 근접하면, 갑자기 세포핵과 세포기관이 사라지면서 비늘(squame) 모양의 각질로 변한다.

 연구팀은 이렇게 각질화하기 직전의 세포에서, 식용유를 식초와 섞어 흔들 때 생기는 미세 지질 방울과 흡사한, 검은 얼룩의 단백질 침전물이 생기는 걸 발견했다.

 학계에선 이런 현상을 '위상 분리(phase separation)'라고 하는데, 표피세포의 각질화 과정에서도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케라토히알린 과립(keratohyalin granule)'이라는 이 침전물이 표피세포에 분자 메시지를 보내 '조기 사멸'을 유도한다는 걸 생쥐 실험에서 확인했다.

 필라그린(filaggrin) 유전자가 이 과립의 형성에 결정적 작용을 한다는 것도 알아냈다.

 필라그린이 제 기능을 못 하면 위상 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그 결과 케라토히알린이 결핍된 표피세포는 외부 환경요인에 반응하지 않았다.

 또한 필라그린이 아토피 피부염과 연관된 변이를 일으키게 조작하면, 피부 세포가 케라토히알린 과립을 정상적으로 생성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위상 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면 표피의 '장벽 형성'에 결함이 발생해, 피부에 염증이 생기고 갈라지는 증상도 나타나는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특히 필라그린 이상과 연관된 피부 질환 치료에 새로운 접근로를 열 것으로 기대된다.

 푸치스 교수는 "지금까지 개발된 아토피 피부염 등의 치료법은 대부분 면역 억제에 초점을 맞춘 것이었다"라면서 "하지만 피부의 장벽(barrier) 그 자체를 더 면밀히 연구해야 한다는 게 이번에 드러났다"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비대면 진료시 '위고비' 오남용 없도록" 병원에 당부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는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자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 오남용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위고비 처방 시 충분한 진료를 통해 대상 환자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문을 대한병원협회를 통해 각 병원에발송했다. 위고비는 비만 환자의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환자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정부는 물론 의료계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이러한 경고에도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살피지 않은 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위고비를 처방하는 등 오남용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복지부는 "(위고비를) 다이어트 목적으로 쉽게 처방받을 수 있다고 환자가 오인하게끔 홍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면 진료 시 의약품 오남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위고비 처방 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을 준수하고, 담낭 질환이나 췌장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사전에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 위고비는 국내에서 BMI 30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BMI 27 이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