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차 황산화 성분, 폐 굳어지는 폐섬유화증에 효과"

  원인 모르게 폐가 굳어지는 특발성 폐섬유화증(IPF: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에 녹차의 강력한 항산화 성분인 갈산염-3-에피갈로카테킨(EGCG: epigallocatechin gallate)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발성 폐섬유화증은 원인 불명으로 폐가 섬유화되는 난치성 질환이다. 환자는 폐에서 산소 교환을 못 해 호흡 곤란을 겪고 운동 능력이 저하되며 절반은 평균 3년 이내에 사망할 만큼 예후가 좋지 않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 의대 폐 질환 전문의 해럴드 채프먼 박사 연구팀이 IPF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소규모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14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만 600mg짜리 EGCG 캡슐을 2주 동안 먹게 했다.

 2주 후 이들의 폐 조직 샘플을 채취, 분석한 결과 두 그룹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EGCG 그룹은 폐 섬유화에 관여하는 특정 단백질들이 대조군보다 적었다.

 혈액검사에서도 EGCG 그룹이 폐섬유화증과 관련이 있는 두 가지 단백질 수치가 대조군보다 낮았다.

 이 임상시험은 참가 환자가 적은 데다 짧은 기간 진행됐기 때문에 EGCG 캡슐의 효과를 입증하는 증거는 될 수 없다고 연구팀은 인정했다.

 이에 대해 미국 폐섬유화증 재단(Pulmonary Fibrosis Foundation) 의료실장 그레고리 코스그로브 박사는 "고무적인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EGCG 캡슐이 호흡 기능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지, 부작용은 없는지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그는 덧붙였다.

 특발성 폐섬유화증은 대부분 60세 이상 연령층에서 나타나며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흡연과 가족력이 위험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현재는 승인된 치료제가 2가지 있으나 폐 손상의 진행을 차단하지는 못하고 지연시킬 뿐이라서 새로운 치료제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 연구결과는 의학 전문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국 혈액원·적십자병원 노조 오는 24일 18년만에 파업 예고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 대한적십자사 본부지부가 18년 만에 파업 투쟁을 예고했다. 적십자 노조는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 임금협상 결렬 후 진행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85%가 파업에 찬성했다며, 24일 보건의료노조 산별 총파업에 맞춰 26개 사업장에서 동시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적십자사는 전국에 15개 혈액원과 7개 적십자병원 등을 운영 중으로, 노조가 파업에 참여하면 2007년 산별 총파업 동참 이후 18년 만이 된다. 5월부터 사측과 임금·단체협약 협상을 진행해온 적십자 노조는 ▲ 총액 인건비제도 폐지 ▲ 혈액사업장 노동조건 개선 ▲ 적십자병원 경영 정상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혈액사업장 노동자들은 환자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혈액 공급을 한시도 멈출 수 없어 하루 10시간 이상, 밤 11시를 넘겨야 마치는 장시간 노동을 감내해야 한다"며 "헌혈의 집 또한 연간 350일 이상, 평일 20시까지 의무 운영되면서 직원들의 저녁과 주말이 모두 사라졌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올해 사측은 임금 인상이 불가능하다는 주장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낡은 공공기관 총액 인건비제도 탓에 공무원 임금 인상률조차 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세포 도핑' 피 한방울로 찾는다…차세대 분석기술 개발
유전자나 세포치료제를 활용해 체내 기능을 조작하는 첨단 유전자·세포 도핑을 막을 수 있는 고감도 진단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도핑콘트롤센터 성창민 책임연구원이 고려대 박희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유전자 가위를 활용한 다중 유전자·세포 도핑 분석법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근력이나 지구력을 극대화하는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적혈구 생성인자와 같은 유전자 기반 약물들은 2003년 세계반도핑기구(WADA)에 의해 금지됐으나, 이를 판별할 진단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다. 도쿄올림픽에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qPCR) 기반 유전자 증폭 검사법이 시범 도입됐지만 체내 단백질과 구조가 같은 체외 유전자 물질은 구분이 어려워 DNA 수준에서 체외 물질을 구별할 기술 필요성이 커져 왔다. 연구팀은 시료 전처리 과정 없이 혈액 내에서 표적 유전자를 직접 증폭하고 이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통해 형광 방식으로 유전자를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인간 성장 호르몬을 주입한 실험용 쥐 모델에 이 기술을 적용한 결과 손끝에 맺히는 핏방울보다 작은 5㎕(마이크로리터, 1㎕는 100만분의 1ℓ) 만으로도 90분 이내 체외 유전자 2.5개 존재까지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