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인슐린 맞는 소아 당뇨병, 근본적 치료 실마리 찾았다"

췌장 베타세포 유전자 제거→ T세포 공격 피하는 위장술 발현
미 위스콘신대 연구진, 저널 '세포 대사'에 논문

  만 25세 이전에 갑자기 생기는 1형 당뇨병(일명 소아 당뇨병)은 현재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다.

 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생성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T세포(면역세포)의 공격을 받아 손상되면서 시작된다. 인체 면역계의 선봉장 격인 T세포는 베타세포를 위험한 것으로 간주하고 공격한다.

 본격적으로 증상이 나타난 1형 당뇨병 환자는, 혈중 포도당의 에너지 대사에 필요한 인슐린이 아주 조금 분비되거나 아예 분비되지 않는다.

 현재 전 세계의 1형 당뇨병 환자는 약 2천만 명으로 추정되지만, 평생 인슐린 주사를 맞으며 혈당 수치를 관리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

 그러면서도 이런 환자들은 고혈압, 뇌졸중, 녹내장, 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에 시달린다.

 이렇게 위험하고 고통스러운 1형 당뇨병 환자에게 엄청난 희소식이 될 만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췌장 베타세포의 특정 유전자를 억제하면 T세포의 공격을 피할 수 있고, 인슐린 분비도 원활히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유전자가 제거된 베타세포는 탈분화(dedifferentiation)와 재분화(redifferentiation) 과정을 거쳐 T세포의 공격 대상에서 벗어났다. 유전자 제거가 T세포의 눈을 속이는 위장술이 되는 셈이다.

 이 연구를 수행한 미국 위스콘신대 매디슨 캠퍼스(UW-Madison)의 페이자 엥긴 생체분자 화학 조교수팀은 이런 내용의 논문을 26일(현지시간) 저널 '세포 대사(Cell Metabolism)'에 발표하고, 별도의 논문 개요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췌장 베타세포의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IRE1-알파' 유전자에 주목했다.

당초엔 1형 당뇨병에 걸린 생쥐의 베타세포에서 이 유전자를 제거하면 병세가 악화할 거로 예상했다.

 그러나 결과는 정반대였다. T세포의 공격이 시작되기 직전에 유전자를 제거하자, 처음 몇 주 동안 위험하지 않을 정도의 경미한 고혈당이 나타나다가 혈당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이 과정에서 베타세포는 전구세포(progenitor cells)로 변했다가 성숙 상태로 복원하는, 두 차례의 분화를 거쳐 정상적인 인슐린 생산자로 탈바꿈했다.

 1단계로 탈분화한 베타세포에선, '이리로 와서 잡아먹어' 식의 유인 신호를 T세포에 보내던 여러 유전자의 발현도가 낮아졌고, 그 영향인지 T세포도 베타세포를 더는 문젯거리로 보지 않았다.

 엥긴 교수는 "유전자를 제거하면 베타세포가 절묘한 위장술을 쓰는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T세포의 공격권에 벗어난 베타세포는 재분화 과정을 거쳐 인슐린을 제대로 분비하는 성숙 세포로 돌아왔다.

 이 과정을 거친 T세포는 베타세포를 공격하지 않는 속성을 1년 후까지 그대로 유지했다. 이는 사람으로 치면 40~50년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IRE1-알파 유전자를 표적으로 개발한 두 종류의 후보 1형 당뇨병 치료제에 대해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 약물은 류머티즘 관절염, 루푸스병, 다발성 경화증 등의 자가면역 질환에도 효과를 낼 것으로  과학자들은 기대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비대면 진료시 '위고비' 오남용 없도록" 병원에 당부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는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자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 오남용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위고비 처방 시 충분한 진료를 통해 대상 환자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문을 대한병원협회를 통해 각 병원에발송했다. 위고비는 비만 환자의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환자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정부는 물론 의료계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이러한 경고에도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살피지 않은 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위고비를 처방하는 등 오남용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복지부는 "(위고비를) 다이어트 목적으로 쉽게 처방받을 수 있다고 환자가 오인하게끔 홍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면 진료 시 의약품 오남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위고비 처방 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을 준수하고, 담낭 질환이나 췌장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사전에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 위고비는 국내에서 BMI 30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BMI 27 이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