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기부전, 조기 사망 위험↑"

 발기부전이 조기 사망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벨기에 루벤(KU Leuven) 대학병원 내분비내과 전문의 렌 안토니오 교수 연구팀이 40~79세 남성 1천913명을 대상으로 평균 12.4년에 걸쳐 진행한 조사 분석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의 CNN 뉴스 인터넷판이 31일 보도했다.

 연구 기간에 이 중 483명(25%)이 사망했다.

 연구팀은 발기부전, 남성 정력의 척도인 새벽 발기(Morning Erection), 성욕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질량분석(mass spectrometry)을 통해 이들의 성호르몬 수치를 측정했다.

 전체적으로 남성 호르몬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정상이라도 발기부전이 있는 남성은 발기부전이 없는 남성보다 조기 사망 위험이 5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기부전이 있으면서 테스토스테론 수치도 낮은 남성은 사망 위험이 조금 더 높았다.

 이는 테스토스테론 부족이 남성 조기 사망 위험의 중요한 요인은 아님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해석했다.

 발기부전만 있는 남성은 발기 기능이 정상인 남성보다 조기 사망 위험이 1.4배, 발기부전에 새벽 발기 불능, 성욕 저조 등 3가지 증상이 겹친 남성은 이런 증상이 없는 남성에 비해 조기 사망 위험이 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기부전의 원인은 테스토스테론 부족 외에도 발기에 필요한 혈류를 가로막는 관상동맥 질환(심장병) 때문일 수 있다.

 이는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진 남성은 음경에 혈액을 공급하는 소동맥이 관상동맥보다 먼저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발기부전은 이 외에도 특정 약물 복용, 스트레스, 불안, 수면장애, 과음, 전립선 절제 수술 또는 부상에 의한 신경 손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내분비학회 저널(Journal of Endocrine Society) 최신호(3월 31일 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비대면 진료시 '위고비' 오남용 없도록" 병원에 당부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는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자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 오남용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위고비 처방 시 충분한 진료를 통해 대상 환자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문을 대한병원협회를 통해 각 병원에발송했다. 위고비는 비만 환자의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환자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정부는 물론 의료계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이러한 경고에도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살피지 않은 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위고비를 처방하는 등 오남용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복지부는 "(위고비를) 다이어트 목적으로 쉽게 처방받을 수 있다고 환자가 오인하게끔 홍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면 진료 시 의약품 오남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위고비 처방 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을 준수하고, 담낭 질환이나 췌장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사전에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 위고비는 국내에서 BMI 30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BMI 27 이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