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노폐물 치우는 자가포식, 인지 기능 개선에 직접 관여"

뉴런 축삭돌기 미세소관 통한 물질 운반 속도 제어
독일 쾰른대 연구진,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논문

 자가포식(autophagy)은 세포질의 노폐물, 퇴행성 단백질, 기능 저하 소기관(organelle) 등을 분해해 제거하는 세포의 자정 작용을 말한다.

 세포 내 영양소가 부족할 땐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해 보충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재활용 시스템으로 볼 수도 있다.

 뇌 신경세포(뉴런)같이 분열 능력을 상실한 세포는 이런 유형의 부적절한 노폐물 축적에 더 취약하다.

 그런데 뇌의 학습과 기억에 작용하는 물질이 뉴런 안에서 운반되는 경로에도 자가포식이 깊숙이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가포식에 이상이 생기면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등의 신경 퇴행 질환을 유발한다는 건 이전의 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

 하지만 자가포식이 뉴런 내의 물질 이동에 관여한다는 건 처음 밝혀졌다.

 이 연구를 수행한 독일 쾰른대의 피케 나탈리아 코노넹코 박사팀은 관련 논문을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하고, 별도의 논문 개요를 1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했다.

 코노넹코 박사는 이 대학이 운영하는 '세포 분자 신경 퇴행 메커니즘' 연구 그룹의 리더다.

 연구팀은 생쥐 실험에서 뉴런의 생존에 자가포식이 꼭 필요한 건 아니라는 걸 확인했다.

 뉴런은 대신, 미세소관을 통해 물질을 운반하는 데 자가포식 단백질(autophagy proteins)을 이용했다.

 세포 내 노폐물 제거에 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 자가포식 단백질은, 뉴런의 축삭돌기 미세소관(axonal microtubule)을 통해 물질이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했다.

 이 발견은 치료적 목적으로 환자의 자가포식을 조절하면 뇌세포의 노폐물 제거뿐 아니라 인지 능력 개선도 가능하다는 걸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말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비대면 진료시 '위고비' 오남용 없도록" 병원에 당부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는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자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 오남용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위고비 처방 시 충분한 진료를 통해 대상 환자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문을 대한병원협회를 통해 각 병원에발송했다. 위고비는 비만 환자의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환자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정부는 물론 의료계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이러한 경고에도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살피지 않은 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위고비를 처방하는 등 오남용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복지부는 "(위고비를) 다이어트 목적으로 쉽게 처방받을 수 있다고 환자가 오인하게끔 홍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면 진료 시 의약품 오남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위고비 처방 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을 준수하고, 담낭 질환이나 췌장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사전에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 위고비는 국내에서 BMI 30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BMI 27 이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