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삼중음성유방암, 최적의 표적 치료 경로 찾았다"

ELF5 단백질 이상이면, 인터페론 감마 억제 치료 병행해야
미국 펜실베이니아 의대 연구진, 저널 '네이처 세포 생물학'에 논문

  유방암 중에서도 특히 예후가 좋지 않은 삼중음성유방암(TNBC)은 면역치료 반응률이 20%도 안 된다.

 환자 다섯 중 넷은 이 치료가 잘 안 듣는다는 얘기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과학자들이 TNBC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신호 전달 경로를 발견했다.

 ELF5라는 단백질이 제 기능을 못 해, 인터페론 감마 수용체 1을 자극하면, 인터페론 감마 신호가 활성화해 암 종양의 침습과 확산을 부추긴다는 것이다.

 인터페론 감마 신호의 차단이 TNBC의 급속한 전이를 막는 치료 표적이 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관련 논문은 14일 저널 '네이처 세포 생물학(Nature Cell Biology)'에 실렸다.

 이 연구를 주도한 루멜라 차크라바르티 수의학 조교수는 "인터페론 감마가 일부 유형의 암에 효과적이긴 하다"라면서 "하지만 삼중음성유방암엔 인터페론 감마 신호의 차단이 최적의 치료 전략이라는 걸 확인했다"라고 말했다.

 차크라바르티 교수에게 ELF5 단백질은 아주 친숙한 존재다.

 10여 전 뉴욕대에서 박사후과정을 밟을 때 정상적인 ELF5 단백질이 임신과 젖의 분비를 돕는다는 걸 발견하기도 했다.

 이번 연구에선 TNBC가 생긴 생쥐의 종양에서 ELF5 단백질이 제 기능을 못 하면 인간 환자와 똑같이 암의 전이성과 공격성이 더 높아진다는 걸 알아냈다.

 ELF5의 기능을 상실한 TNBC 생쥐의 암세포에 발현하는 RNA 유전자를 검사했더니 인터페론 감마 경로의 활성도가 높아져 있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ELF5가 정상인 유방 세포는 인터페론 감마 신호가 약했다.

 ELF5의 기능 상실은 또한 면역을 억제하는 호중구(백혈구의 일종)의 축적을 유발하기도 했다.

 인터페론 감마 수용체 1에 대한 항체를 사용해 이 신호를 차단하거나, 종양 세포의 유전자를 조작해 수용체 수위를 낮추면 종양의 성장과 확산이 더 느려졌다.

 실제로 TNBC 환자의 유전자와 단백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ELF5의 발현도가 낮고 인터페론 감마 수용체 1의 수위가 높은 경우 암이 여러 부위로 더 빨리 퍼졌다.

 차크라바르티 교수는 "환자 개개인의 치료 표적을 더 선별적으로 정해야 한다는 걸 시사한다"라면서 "만약 ELF5 발현도가 낮은 환자라면 면역치료에 더해 인터페론 감마 신호를 차단하는 치료를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간협, PA 시행규칙에 거듭 반대…"신고제 교육, 안전 담보 못해"
오는 21일 간호법 시행을 앞두고 대한간호협회(간협)가 하위법령인 진료지원(PA) 업무 수행 규칙에 대한 반대 의사를 거듭 밝혔다. 간협은 2일 보건복지부 세종청사 앞에서 2차 집회를 열고 "진료지원 간호사 교육을 '신고제'로 하겠다는 정부의 주장은 안전과 숙련도를 담보할 수 없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신고제 교육에는 표준 교육 방식이 없다"며 "수천 개의 교육기관에서 수만 명의 진료지원 간호사가 수백 가지 방법으로 교육돼 배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진료지원 업무의 질을 유지하고 관리 감독할 체계적인 콘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한다"며 "의료 신뢰성 확보를 위해 진료지원 인력에 대한 공신력 있는 자격증을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협회에 따르면 이날 집회에 전국에서 1만여 명의 간호사가 참여했다. 간호사들은 '교육 이수증 찢기' 등의 퍼포먼스를 했다. 정부 안에 따르면 진료지원 인력에 대한 교육은 이론 및 실기교육, 소속 의료기관에서의 현장실습으로 구성된다. 교육기관은 간협과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등 유관 협회, 3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전문간호사 교육기관, 공공보건의료 지원센터, 그밖에 복지부 장관이 전담간호사 교육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고지방 식단, 비만뿐 아니라 불안·인지장애 위험도 높여"
고지방 식단으로 인해 유발된 비만이 뇌 신호와 장내 미생물군에 변화를 일으켜 불안증과 인지장애 위험도 높일 수 있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조지아주립대 데지리 원더스 교수팀은 2일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영양학회(ASN) 학술대회(NUTRITION 2025)에서 생쥐에게 15주 동안 고지방 먹이와 저지방 먹이를 먹이며 변화를 관찰한 실험에서 고지방 먹이로 인한 비만과 불안증 및 인지장애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먹이로 인한 비만과 불안 증상, 뇌신호 변화, 뇌기능 손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장내 미생물 변화 등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준다며 이는 비만과 불안증이 장과 뇌의 상호작용으로 연결돼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원더스 교수는 "여러 연구가 비만과 불안의 연관성을 시사해 왔지만 비만이 불안을 직접 유발하는지 또는 그 연관성이 (비만에 대한) 사회적 압박의 영향인지 등은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비만이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뇌 건강에 미지는 잠재적 영향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비만과 인지 기능 및 불안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