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의 청소년기 식습관, 자녀의 식습관 형성에 큰 영향"

美 연구팀 "아버지의 좋은 식습관, 자녀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 도움"

 아버지는 자녀 식습관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아버지가 10대 시절에 건강한 식단을 유지한 경우 이들의 자녀 역시 건강한 식습관을 갖게 될 가능성이 더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보스턴칼리지 마리안 드 올리베이라 박사팀은 2일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영양학회(ASN) 학술대회(Nurition 2025)에서 남성 660여명과 자녀에 대한 연구에서 아버지의 청소년기 식습관이 자녀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1990년대와 2000년대 간호사 자녀를 모집한 '청소년기 건강 행동의 세대 간 영향 연구'(GUTS-F&F)에 참여한 남성 669명을 대상으로 청소년기 식습관을 조사하고, 이들이 아버지가 된 뒤 다시 자녀들의 식습관 등을 조사했다.

 참가자들은 청소년기에 최소 두 번 식단 설문 조사를 마쳤으며, 2021~2022년 1~6세 자녀를 둔 아버지로서 다시 후속 연구에 참여해 자신과 자녀의 식습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연구팀은 먼저 청소년기 식단의 질을 '건강한 식생활 지수'(HEI:0~100점)로 평가해 아버지들을 식단의 질이 높은 수준(B:HEI 80~89점), 보통 수준(C:HEI 70~79점), 낮은 수준(D:HEI 60~69점), 매우 낮은 수준(F:HEI 60점 미만)으로 나눴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현재 식습관, 자녀의 식단, 자녀의 간식 및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 섭취에 대한 관리 방식 등을 조사했다.

 아버지 중 44%는 청소년기 식단의 질이 낮은 그룹, 40%는 식단의 질이 점차 나빠진 그룹, 16%는 식단의 질이 점차 개선된 그룹으로 분류됐다.

 분석 결과 청소년기에 식단의 질이 좋거나 개선된 그룹의 아버지들은 자녀에게 건강한 식습관을 모범적으로 보여줄 가능성이 90% 높았고, 자녀가 건강한 식습관을 갖도록 관리할 가능성도 6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런 아버지의 자녀들은 과일과 채소를 권장량 이상 섭취하는 비율이 청소년기에 식습관이 나빴거나 악화한 아버지의 자녀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청소년기에 건강한 식습관을 가진 그룹의 자녀는 과일과 채소 섭취 권장량 충족 비율이 62%, 38%였으나, 식단의 질이 낮은 그룹의 자녀는 과일 54%, 채소 29%, 식단의 질이 나빠진 그룹의 자녀는 과일 53%, 채소 23%에 그쳤다.

 드 올리베이라 박사는 "이 결과는 모든 연령층과 인구 집단에서 건강한 식습관을 장려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며 "청소년기 건강한 식습관은 본인에게 이로울 뿐 아니라 미래 부모로서의 행동에도 영향을 주고 다음 세대 영양상태 개선에도 기여한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