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음주 시작 나이는…"19세 전이면 사망위험 29%↑"

성인 3만5천여명 분석…"조기사망 줄이려면 음주연령 늦추는 방안 검토해야"

  알코올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이다.

 1급 발암물질 그룹에는 알코올 외에도 흡연, 가공육, 미세먼지, 방사선, 벤젠 등도 포함된다.

 음주가 암과 심혈관질환 등의 발생에 미치는 연관성은 명확하다.

 술이 암을 유발하는 것은 주성분인 알코올이 만드는 발암물질이 점막이나 인체 조직에 쉽게 침투하기 때문이다.

 또 간이 알코올 분해를 위해 만드는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암을 일으키는 것도 하나의 원인이다.

 술과 암 발병률의 여러 상관관계는 이미 많은 실험으로 입증됐는데, 하루에 50g(주종별로 5잔가량) 정도의 알코올을 섭취하는 사람은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에 견줘 암 발생 위험이 2∼3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본다.

 특히 음주는 간암을 일으키는 대표적 원인 중 하나다.

 알코올을 많이 마시면 간에서 지방 합성이 촉진되고 에너지 대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지방간 상태가 된다.

 지방간이 악화하면 간세포가 파괴되고 알코올성 간경변증,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

 여기에 음주를 처음 시작하는 나이도 장기적으로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최근에는 미성년(19세 미만) 때 처음 음주를 시작한 사람의 사망 위험이 성년이 된 이후에 음주를 시작한 사람보다 20%가량 높다는 분석이 국내에서 나왔다.

 현재 음주를 허용하는 나이는 나라마다 다르다.

 한국의 경우 만 19세부터 주류 구매 및 음주가 가능하지만 일본은 20세, 미국은 21세(연방 기준)다.

 가톨릭의대 예방의학과 이후연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 사망원인통계 자료를 활용해 35∼64세 성인 3만5천159명을 9.9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첫 음주 연령과 사망 위험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2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역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를 19세 이전 음주 시작 그룹(9천723명), 19세 이후 음주 시작 그룹(2만3천275명), 평생 금주 그룹(3천161명)으로 나눠 전체 사망률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19세 이전에 음주를 시작한 그룹은 평생 술을 마시지 않은 그룹보다 전체 사망 위험이 29%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관성은 여성에서 두드러졌다. 같은 비교 조건에서 여성의 사망위험은 100%로 치솟았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여성 음주자는 동일한 양의 음주에도 남성 음주자보다 알코올 관련 문제로 고통받을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음주자'(2만438명)만 분석했을 때는 19세 이전 음주 시작 그룹의 사망 위험이 19세 이후 음주 시작 그룹보다 20% 더 높았다.

 19세 이후 음주를 시작한 그룹의 사망 위험도 평생 금주자보다는 15% 더 높았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낮았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연구팀은 알코올 섭취로 인한 조기 사망을 최소화하려면 음주 허용 나이를 늦추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후연 교수는 "19세 미만에 음주를 시작한 사람의 대다수는 현재 음주자이면서 절반이 위험 음주 습관을 보고했지만, 19세 이후에 음주를 시작한 경우는 현재 음주자가 절반에 불과하고 위험 음주 습관도 4분의 1 미만이었다"면서 "음주 시작 연령 이전에 술을 마시지 않도록 하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음주 허용 나이를 늦추는 게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