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신규 희귀질환자 14% 늘어 6만2천여명…3%가 그해 사망

질병청, 2023 희귀질환자 연보 발간…200명 이하 극희귀질환 2천510명

  2023년 한해 국내에서 6만2천여명이 희귀질환 진단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발간된 질병관리청의 2023 희귀질환자 통계 연보에 따르면 그해 6만2천420명의 희귀질환자가 발생했다.

 신규 희귀질환자는 2022년(5만4천952명)에 1년 전보다 1.7% 줄었으나, 2023년에는 13.6% 늘었다.

 2023년 신규 희귀질환자 중 유병인구가 200명 이하인 극희귀질환자는 2천510명(4.0%)이었다.

 질환명이 없는 새로운 염색체 이상(염색체 결손, 중복 등) 질환을 뜻하는 기타염색체이상질환자는 113명(0.2%)이었다.

 2023년 신규 희귀질환자 중 그해에 사망한 이들은 총 2천93명(3.4%)이었다.

 발생자 대비 사망자의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80세 이상이 16.7%로 가장 높았다. 이어 70∼79세(7.3%), 60∼69세(3.1%), 1세 미만(2.6%), 50∼59세(1.4%) 순이었다.

 2023년 신규 희귀질환자 중 진료 실인원은 총 6만50명이었다.

 1인당 평균 총진료비는 약 652만원으로, 이 가운데 환자 본인부담금은 68만원이었다.

 희귀질환 중 진료비 부담이 가장 큰 단일 질환은 희귀 유전성 대사질환인 고쉐병(Gaucher Disease)으로, 총진료비가 3억1천만원, 본인부담금이 3천184만원이었다.

 희귀질환자 통계 연보는 희귀질환의 발생·사망 및 진료 이용 정보를 담은 국가승인통계로, 2020년부터 발간 중이다.

 이번 통계는 200명 초과 발생 질환에 대해서만 세부 현황을 공개하던 기존과 달리 전체 질환의 성별·연령군별·지역별 발생 현황을 담았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앞으로도 근거 기반 정책이 추진되고,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도록 통계 연보를 발전시키겠다"며 "희귀질환자와 가족의 삶에 실질적 변화를 가져오도록 국가 관리체계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젊은 암 늘자 '가임력 보존' 관심…"출산 계획 환자부터 지원"
젊은 암 환자가 많아지면서 '가임력 보존'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환자와 의사 대부분이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계획이 있는 암 치료 대상자부터 지원해야 한다는 데에도 환자와 의사 사이에 이견이 없었다. 대한가임력보존학회가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수행한 '가임력 보존 및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11~12월 가임기 여성 환자와 이들을 진료하는 의사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러한 사실이 확인됐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암 발병 연령이 낮아진 데 따라 젊은 암 환자의 완치 이후의 삶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 암을 새롭게 진단받은 20∼39세 환자는 1만9천575명에 달한다. 특히 가임력 보존은 저출생 시대 젊은 유방암 환자 등이 증가한 데 따라 관심이 커지는 분야로 꼽힌다. 학회는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병원 7곳에서 외래 진료를 받은 여성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해 조사했다. 이들 중 유방암 등을 진단받고 가임력 보존 시술을 받은 환자는 53명이었다. 우선 응답자의 83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