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세포로 시력회복 성공…망막질환 칠벌 개발 가속화"

미 국립안연구소, 피부세포를 곧바로 망막의 간상세포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

 미국 국립 안연구소(NEI: National Eye Institute)가 피부세포를 직접 망막의 빛을 감지하는 간상세포로 분화시켜 눈먼 생쥐에 이식, 시력을 회복시키는 데 성공했다.

 인간의 망막은 색감을 감지하는 원추세포(cone cell)와 명암을 감지하는 간상세포(rod cell)로 구성된다.

 원추세포는 빛의 3원색인 빨강, 초록, 파란색을 구분하는 3가지 광수용체(photoreceptor) 단백질을 세포막에 발현하고 간상세포는 명암을 구분하는 광수용체 단백질을 만든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망막세포의 광수용체를 만들기 위해 먼저 피부세포나 혈액세포를 원시세포인 유도만능줄기세포(iP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로 환원시킨 다음 다시 iPS를 망막세포로 분화시키는 과정을 밟았다.

 미국 NEI 신경생물학-신경퇴행-수리 실험실(Neurobiology, Neurodegeneration and Repair Laboratory)의 애넌드 스와루프 박사 연구팀은 피부세포를 iPS로 되돌리는 절차 없이 피부세포를 곧바로 망막의 간상세포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16일 보도했다.

 종래의 방법으로 이식용 망막세포를 만들려면 6개월이 걸린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10일이면 된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인간의 피부세포와 생쥐의 피부세포를 모두 망막세포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 실험 성공은 노인성 황반변성과 망막의 광수용체 상실로 발생하는 다른 망막질환의 치료법 개발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망막 간상세포의 분자 경로를 화학적으로 이루어내는 5가지 소분자 물질의 칵테일에 피부세포를 넣어 배양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성공을 거두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간상세포 광수용체는 모양과 기능이 자연 간상세포의 광수용체와 같았다.

 연구팀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gene expression profiling)으로 이 새 간상세포의 유전자 발현이 광수용체 단백질을 발현하는 자연 간상세포와 같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 새 간상세포를 망막 변성(retinal degeneration) 생쥐의 눈에 이식하고 광수용체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동공반사(pupillary reflex) 실험을 진행했다.

 희미한 불빛에서는 간상세포의 광수용체에 의해 동공이 수축된다. 새로운 간상세포가 이식된 생쥐 14마리 중 6마리(43%)가 이식 1개월 후 약한 불빛에서 동공이 수축되는 반응을 보였다. 새 간상세포가 이식되지 않은 다른 망막 손상 생쥐들은 한 마리도 이러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식 3개월 후 새 간상세포의 광수용체가 여전히 살아있고 망막 내층(inner retina)의 신경세포와의 시냅스 연결(synaptic connection)도 제대로 기능하고 있음을 연구팀은 면역 형광법(immunofluorescence)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NEI는 미국 국립보건원(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의 산하기관이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Nature) 최신호(4월 15일 자)에 발표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국내 혁신의료기기 100개 돌파…지정제도 도입 5년만
정부로부터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받은 제품 수가 100개를 돌파했다.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 메디팜소프트의 심혈관 위험 평가 소프트웨어(PAPS)가 28일 제100호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 2020년 5월 혁신의료기기군(첨단기술군·의료혁신군·기술혁신군·공익의료군) 특성별로 지정 가치가 높은 제품을 혁신의료기기로 지정하는 일반심사 지정제도가 시행된 지 5년 만에 100개를 넘어섰다. 혁신의료기기는 정보통신·로봇 기술 등 기술 집약도가 높고 혁신 속도가 빠른 분야의 첨단 기술을 적용하거나 사용 방법을 개선해 기존 의료기기나 치료법에 비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현저히 개선한 의료기기다. 식약처는 혁신의료기기를 다른 의료기기보다 먼저 심사하는 '우선심사'와 허가 전 심사받고 싶은 자료를 개발 단계별로 나눠서 심사하는 '단계별 심사' 등을 통해 우대하고 있다. 혁신의료기기 지정부터 제품화 및 시장 진출까지 단계별 1대 1 맞춤 지원도 하고 있다. 5년간 지정된 일반심사 혁신의료기기는 84개였으며, 요양급여대상·비급여대상 여부 확인, 혁신의료기술 평가를 식약처와 보건복지부가 동시에 통합 심사하는 일종의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