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91만 가구서 반려동물 856만 마리 키운다

농식품부 국민의식조사…반려견이 반려묘보다 2배 이상 많아
'동물보호시설서 입양' 9% 불과…43% "질병과 문제행동 우려"

 지난해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591만 가구가 856만 마리의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펫팸족 1천만명 시대'에서 실시된 '2019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민 5천명에게 반려동물 양육 여부, 동물등록 여부 등을 물은 후 그 결과를 전국 2천238만 가구 기준으로 환산해 결과를 도출했다.

 조사 결과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는 591만 가구로, 전년 511만 가구보다 80만 가구 늘었다.

 개는 495만 가구에서 598만 마리를, 고양이는 192만 가구에서 258만 마리를 기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동물 등록에 참여한 사람은 반려동물 소유자의 67.3%로, 전년 50.2%보다 17.1%포인트 증가했다.

 반려동물의 입양 경로는 '지인 간 거래'라는 답변이 61.9%로 가장 많았고, 이어 '펫숍 등 반려동물 영업자 이용'이라는 응답이 23.2%를 차지했다.

 '동물보호시설을 통한 입양'은 9%에 불과해 여전히 유기견이나 유기묘의 입양이 활성화돼 있지 않음을 드러냈다.

 동물보호시설에서 유기동물을 입양할 의사가 있는 사람도 26.2%에 불과했다.

 입양을 어려워하는 주요 이유로는 '질병 및 행동에서의 문제 우려(43.1%)', '높은 연령(16.9%)', '방법·절차를 몰라서(12.3%)' 등이 많았다.

 반려동물의 외출 시 목줄·인식표 착용, 배설물 수거 등 준수사항을 지키고 있다는 응답자는 반려동물 소유자의 62.9%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약 74.8%는 반려동물 소유자에 대한 의무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47.6%는 동물학대 행위에 대한 현행 처벌 수준이 약하다고 생각했다.

 안유영 동물복지정책과장은 "반려동물 양육 가구와 반려동물 마릿수가 증가함에 따라 동물등록 및 안전관리 의무 준수가 중요해지고 있다"며 "반려동물 소유자는 사람과 동물이 함께 사는 문화 조성을 위해 관련 의무와 에티켓을 잘 지켜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혈당 스파이크 두렵지만 디저트 당긴다면…"공복보단 식사 후에"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가 두렵지만 달콤한 디저트를 도저히 포기할 수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혈당 스파이크를 막기 위해 먹는 순서를 바꾸라던데 진짜 효과가 있는 걸까. 식후 급격한 혈당 변동을 일컫는 혈당 스파이크는 공식적인 의학 용어도 아니고 정확한 기준도 없지만,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만한 뜨거운 키워드가 됐다. 조영민 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최근 신간 '혈당 스파이크 제로(ZERO)'(서삼독)를 펴내며 혈당 스파이크의 개념부터 관리 방안 등을 총망라한 건강한 삶의 길잡이를 제시했다. 조 교수에 따르면 혈당 스파이크는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공복 혈당에 비해 식후 혈당이 50mg/dL 이상 상승하거나 식후 혈당이 140mg/dL 이상으로 오를 때를 칭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혈당이 조금만 올라도 혈당 스파이크가 아니냐고 걱정하는 일반인 대부분은 정상 범주에 속한다. 식사 후 자연스러운 혈당 상승과 혈당 스파이크를 구분하는 것도 중요하다. 식사 후 정상적인 혈당 상승이 아닌 혈당 스파이크가 자주 발생한다는 건 고혈당을 유발하는 음식을 자주 먹는다는 방증이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