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안 쓰고 국자로 '푹'…감염 우려되는 소규모 뷔페

'한식뷔페' 등 직장인들 주로 이용…붐비는 점심시간 곳곳서 방역 수칙 미흡
전문가 "일반 식당보다 감염위험 높아…점주·손님 모두 방역지침 잘 지켜야"

 평일인 지난 19일 점심시간대 서울 송파구의 한 소규모 뷔페. 직장인들이 식당 한쪽에 놓인 자율배식대에서 분주히 식판에 밥과 반찬, 국 등을 떠 옮기고 있었다.

 이 식당에서 10분간 배식대를 다녀간 손님 50여명 중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사람은 10명이 넘었다. 특히 마스크를 벗고 식사하던 중 추가로 음식을 뜨러 이동할 땐 마스크를 쓰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식당에 들어올 때도 마스크를 쓰지 않은 손님을 제지하거나 발열 검사·손 소독제 사용을 요청하는 등 방역조치도 눈에 띄지 않았다.

 손님들은 대부분 식당에 들어온 뒤 손을 씻거나 소독하지 않고 바로 배식대로 이동해 맨손으로 집게나 국자를 잡고 음식을 떴다. 사람이 몰리다 보니 배식대의 간격은 50㎝도 채 되지 않았다.

 식당 관계자는 "인근에 회사들이 많아 점심시간 손님이 수백명에 달하는데, 일일이 마스크 착용 등 방역 수칙을 안내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지속해서 확산하는 가운데 직장인들이 구내식당처럼 이용하는 '한식뷔페' 등 서울 시내 곳곳의 소규모 뷔페식당에서 방역 수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최근 서울 강남구의 한 한식뷔페에 직장인 확진자 2명이 방문한 뒤 이곳 직원이 감염되는 사례가 발생하자 이런 소규모 뷔페식당이 또 다른 연쇄감염의 고리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같은 날 송파구의 다른 한식뷔페도 사정은 비슷했다.

 출입문 앞에 '모두를 위해 마스크를 착용해 달라'는 팻말이 붙어 있었지만, 손님이 마스크를 쓰지 않고 식당에 들어오거나 배식대에서 음식을 뜨더라도 별다른 조치는 없었다.

 마스크를 쓰지 않은 채 음식을 식판에 담아 자리에 앉은 한 남성에게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되냐'고 묻자 "입을 열어 침이 튄 것도 아니고 잠시일 뿐인데 괜찮다"는 답이 돌아왔다.

 일주일에 3번은 한식뷔페를 찾는다는 직장인 진모(35)씨는 "나는 마스크를 잘 끼고 손도 잘 씻는데, 종종 마스크 없이 음식을 퍼 가는 사람들 때문에 걱정돼 가급적 빨리 식사를 마치고 자리를 뜬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소규모 뷔페처럼 불특정 다수가 실내에 모이는 공간에서는 집단감염이 벌어질 위험성이 있으며, 특히 마스크를 쓰지 않고 음식을 뜨는 행위는 지양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21일 "뷔페 자체가 집단 감염의 진원지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마스크를 쓰지 않거나 손 소독 없이 여러 사람이 음식을 뜨는 행위는 감염의 우려가 있다"면서 "점주가 책임의식을 가지고 방역 지침을 강조하고, 시민들도 이에 잘 따라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심경원 이대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도 "한자리에 앉아서 음식물을 섭취하는 일반식당이나 카페와 달리 뷔페는 사람들이 수차례 일어나 움직이면서 감염 위험이 더 높을 수 있다"며 "여전히 확산 속도가 늦춰지지 않고 있으니 기본적 방역 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