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 적용 확대했는데,환자 부담 되레 늘어…과잉진료 영향"

보험연구원 보고서…"건보·실손 협력해야 국민부담 줄어"

 정부가 건강보험 적용을 확대했는데도 실손의료보험 지출과 환자 부담은 되레 늘고 있다.

 보험연구원 정성희 연구위원과 문혜정 연구원은 27일 발간된 'KIRI 리포트'에 게재된 '최근 실손의료보험 청구 실태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2017년부터 시행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가 실손의료보험의 손해액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실손보험의 손해율과 위험손실액은 2018년부터 계속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실손보험의 위험보험료(납입 보험료 중 관리운영비를 제외하고 보험금 지출에 투입되는 몫) 대비 보험금 지출의 비율, 즉 위험손해율은 2017년 121.3%에서 지난해 133.9%로 '악화'했다.

 올해 상반기 위험손해율은 131.7%로 작년 하반기(138.3%)보다는 낮지만 작년 상반기(129.1%)보다는 높다.

 위험보험료보다 초과 지출한 보험금, 즉 발생손해액은 올해 상반기에만 1조4천억원에 이른다.

"건보 혜택 늘려도 실손의료비·환자부담↑…과잉진료 영향" - 2

 작년 상반기에도 건보 본인부담 진료비와 비급여 진료비가 2018년 상반기보다 각각 28.0%와 14.4% 늘었다.

 특히 건강보험 적용 범위를 확대하는 보장성 강화정책에 따라 상급종합병원(대형병원)에서는 비급여 진료비가 감소세지만 의원에서는 급격히 팽창했다. 의원에서는 보장성 강화를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 비급여 진료량이 많이 늘어났다는 뜻이다.

 2017년부터 작년까지 상급종합병원의 실손 청구 비급여 진료비는 연평균 3.4%씩 감소했지만, 올해 상반기 의원의 비급여는 1조1천530억원 규모로, 3년 전보다 79.7%가 늘었다.

 또 입원료와 외래 초음파진단료 등 보장성 강화 항목과 관련한 진료비는 감소하거나 정체인 데 비해 외래 재활·물리치료료와 주사료 등은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필진은 "건강보험 혜택 확대와 연관성이 높은 항목은 진료비 감소가 뚜렷하지만 과잉 의료에 취약한 항목 중심으로 증가세가 계속된다"고 분석했다.

 또, "정부의 보장성 강화정책이 더 큰 효과를 내려면 공보험과 사보험이 협업으로 비급여를 관리하는 합리적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