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9일 조간)

▲ 경향신문 = 공무원 피살 대국민 사과하고 통신선 복구 요청한 문 대통령

"외압 없었다"며 추미애 아들 의혹 몽땅 불기소한 검찰

가족모임ㆍ여행이 최대 위험요인, '방역 추석'이 돼야 할 이유

▲ 국민일보 = 대통령은 왜 북한의 만행을 비판하지 않는가

추미애와 아들 무혐의…석연찮은 부분이 너무 많다

▲ 서울신문 = 귀성ㆍ추캉스 자제에 추석 방역 성패 달렸다

여야, 대북규탄결의안 채택 등에 초당적으로 협력하라

뉴딜 펀드 기준 제시, 실패한 '관치펀드' 답습은 안 돼

▲ 세계일보 = 北 규탄하기는커녕 '김정은 사과' 평가한 文대통령

軍, 北이 실종 공무원 구조하는 것으로 오판했다니

秋장관 아들 '특혜휴가 의혹' 무혐의…누가 수긍하겠는가

▲ 아시아투데이 = 대북규탄결의안 채택, 실기하지 말아야

추석 연휴 잘 넘겨야 코로나 잡힌다

▲ 일간투데이 = 국민의힘 당, 국민의짐 인가 역지사지 통찰해야

▲ 조선일보 = 추석 직전 추미애 면죄부' 예상대로, 수사가 아니라 은폐 조작

어떤 위협도 관용하고, 제 국민 건드려도 아무 대가 요구 않는 나라

北 규탄결의안 무산시키고, 종전선언ㆍ북한관광 결의안 밀어붙이는 정권

▲ 중앙일보 = 북한 눈치 보며 끌려다니는 문 대통령, 실망스럽다

면죄부 주고 끝난 추 장관 아들 사건…누가 수긍하겠나

▲ 한겨레 = 남북, '총격 사망' 실질적 진상규명 방안 내놔야

추미애 장관 아들 '휴가 특혜 논란'이 남긴 것

임신중지 기간 제한, 낙태죄 유지와 뭐가 다른가

▲ 한국일보 = 檢 무혐의 내렸지만 추 장관 거짓말 드러나

국민에 사과한 문 대통령, 북한 더 압박해야

규탄결의안 불발, 여당 대북 저자세 안 된다

▲ 디지털타임스 = 이 와중에 與 종전선언 결의안 추진, 제 정신인가

플랫폼사 규제강화…국내기업ㆍ소비자 역차별 우려한다

▲ 매일경제 = 플랫폼 갑질 막되 과잉규제로 혁신 싹 잘라선 안돼

피살' 엿새 지나 나온 대통령 육성 메시지, 국민은 여전히 답답하다

차량 시위에 운전면허 취소까지 들고나온 정부의 과잉대응

▲ 서울경제 = 종전선언이 국민 피살 재발 방지보다 더 중요한가

미ㆍ중은 첨단산업 지킨다는데 우리는 외려 내쫓나

추석 직전 '면죄부'…공정과 군기강 말할 수 있을까

▲ 이데일리 = 추석연휴, 방역 시민의식 보여줄 기회로 삼자

오락가락 재정준칙, 나라 곳간 구멍 어떻게 막나

▲ 전자신문 = 단통법 개정 신중해야

상표도용, 근본 해결책 없나

▲ 한국경제 = '동학개미'까지 불똥 튄 대주주 범위 확대 과도하다

규제권력 뒤에서 웃는 前官들, 공정위뿐인가

방역 이유로 엄벌ㆍ봉쇄ㆍ금지…기본권 침해 도 넘었다

▲ 건설경제 = 국가부채, 소모적 논쟁만으론 해결 못한다

기업을 '시계제로' 상황으로 내모는 요인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비대면 진료시 '위고비' 오남용 없도록" 병원에 당부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는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자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 오남용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위고비 처방 시 충분한 진료를 통해 대상 환자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문을 대한병원협회를 통해 각 병원에발송했다. 위고비는 비만 환자의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환자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정부는 물론 의료계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이러한 경고에도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살피지 않은 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위고비를 처방하는 등 오남용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복지부는 "(위고비를) 다이어트 목적으로 쉽게 처방받을 수 있다고 환자가 오인하게끔 홍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면 진료 시 의약품 오남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위고비 처방 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을 준수하고, 담낭 질환이나 췌장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사전에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 위고비는 국내에서 BMI 30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BMI 27 이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