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8일 조간)

▲ 경향신문 = 거리 두기 2주 연장, 시민 소통과 경제 보상 뒷받침돼야

설 과로사 걱정하는 택배노동자 절규, 언제까지 외면할 건가

바이든의 새 북한통 외교팀, 유연하게 대북 첫 단추 끼우길

▲ 국민일보 = 지자체 영업 허용시간, 정부 방침 따르는 게 맞는다

단일화 논란과 부동산 공약에 함몰된 서울시장 선거

'김학의 불법 출금'에 대한 법무부와 추미애의 억지주장

▲ 서울신문 = 임기 1년 서울시장 후보들의 백가쟁명식 부동산 공약

탈원전 감사를 비판하는 여권 인사들의 월권적 발상

'층간소음 유발 시공사에 징벌적 손배' 법안 주목한다

▲ 세계일보 = 北도발 경고음 나오는데 한가한 소리 늘어놓는 당정

'김학의 불법 출금'에 대한 법무부의 적반하장식 궤변

카페·헬스장·노래방 등 방역 완화, 경각심 풀어선 안 돼

▲ 아시아투데이 = 한은 총재의 '주가거품 경고' 경청해야

정은경, 전권 살려 방역·접종 다 잡아야

▲ 일간투데이 = 경제정책 'K'형 양극화 막아야 한다

▲ 조선일보 = "다신 이런 일 없어야", 이 정권이 말할 자격 있나

가짜 스펙으로 의사 자격 딴 조국 딸, '공정'이 짓밟혔다

경기도 '재난지원금' 소동, 대선 주자 없어도 이러겠나

▲ 중앙일보 = 임기말 공공기관장 인사 '낙하산 알박기' 안 된다

'박원순 성추행' 인정한 재판부에 대한 협박 중단하라

▲ 한겨레 = 이재용 선고, '시대착오적 경제논리' 배제해야

더 복잡해진 거리두기, 세심한 실천이 중요하다

의사협회 찾아가 질병청 폄훼한 김종인 위원장

▲ 한국일보 = 김학의 불법 출금 檢 수사, 제 식구 감싸기 안 돼야

경고 잇따르는 주식투자 열풍, 선제 연착륙 조치 필요

방역 조치 일부 완화…시민의 자발적 협조 절실해졌다

▲ 디지털타임스 = 이재용 환송심, "국가경제 위해 선처" 각계 호소 경청해야

비자발적 실직 200만시대…'反기업 일자리 퇴출' 멈추라

▲ 매일경제 = 이익공유제 '5대 불가론' 이것이 현실이다

서울 도시경쟁력 10년간 후퇴했다는 전문가들의 쓴소리

세무사도 난수표 같다는 세법, 이러니 조세불복 청구 쏟아지지

▲ 서울경제 = 바이든식 美우선주의…동맹 강화·초격차 기술이 답

불붙는 반도체 대전, 한국 안심할 때 아니다

'벼락거지'까지 쏟아내는 K자 양극화

▲ 이데일리 = '증시과열' 경고 메시지, 허투루 넘겨들을 일 아니다

서울시장 예비후보들의 '지르고 보자'식 주택공약

▲ 전자신문 = 기술에는 양심이 없다

코넥스 시장, 문제없나

▲ 한국경제 = 대통령 신년회견에서 국민이 꼭 듣고 싶은 것들

코로나 발생 1년, 국민 희생으로 최악은 피했지만…

과열 경고하면서 돈은 계속 풀겠다는 韓銀의 딱한 현실

▲ e대한경제 = 금융·자산시장 안정 위한 출구전략 마련 시급하다

첫발 뗀 도심 공공재개발, 꼼꼼히 제도 보완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비대면 진료시 '위고비' 오남용 없도록" 병원에 당부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는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자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 오남용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위고비 처방 시 충분한 진료를 통해 대상 환자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문을 대한병원협회를 통해 각 병원에발송했다. 위고비는 비만 환자의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환자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정부는 물론 의료계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이러한 경고에도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살피지 않은 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위고비를 처방하는 등 오남용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복지부는 "(위고비를) 다이어트 목적으로 쉽게 처방받을 수 있다고 환자가 오인하게끔 홍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면 진료 시 의약품 오남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위고비 처방 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을 준수하고, 담낭 질환이나 췌장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사전에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 위고비는 국내에서 BMI 30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BMI 27 이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