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5일 조간)

▲ 경향신문 = 문재인 정부 최대규모 주택공급안, 투기차단책 전제돼야

사상 초유 법관 탄핵소추, 사법부 신뢰 세우는 계기 삼아야

한·미, 정상 통화를 시작으로 북핵 해법 조속히 마련하라

▲ 국민일보 = 거짓말로 불신 자초한 김명수, 대법원장 자격 없다

주택 공급 늘린다는 신호는 긍정적…현실화가 관건이다

한·미 정상 첫 통화, 대북 정책 긴밀한 조율 계기 돼야

▲ 서울신문 = 만시지탄인 대량공급 대책, 속도가 관건이다

동맹 업그레이드 약속한 한미정상, 실천으로 이어져야

대법원장의 '정무적 판단'과 거짓말, 사법부의 추락

▲ 세계일보 = 사법부 독립 해치고 거짓말한 대법원장이 탄핵감이다

민간개발 틀어막은 '공공 도그마' 대책으로 집값 잡히겠나

文·바이든 첫 통화, 한·미 가치동맹 강화하는 계기 삼길

▲ 아시아투데이 = 동맹 '업그레이드' 약속한 한·미 정상

산업 패러다임 전환, 미래 선점의 좋은 기회

▲ 조선일보 = 거짓말쟁이 대법원장 보유국, '문재인의 나라' 진면목

與 법원 겁박용 판사 탄핵 강행, 어쩌다 이런 나라 됐나

조국 딸 결국 한전 산하 병원 인턴 합격, 정말 이래도 되는가

▲ 중앙일보 = 삼권분립 훼손하고 국민 속인 대법원장 사퇴해야

선거 다가오자 또 연장한 주식 공매도 금지

▲ 한겨레 = 사상 첫 법관 탄핵소추, 사법부 뼈저린 반성을

공공 주도 83만호 공급, '집 걱정 없는 나라' 만들라

한미 정상 첫 통화, '한반도 평화' 진전 출발점 되길

▲ 한국일보 = 법관 첫 탄핵 속 대법원장의 낯부끄러운 처신

대규모 주택 공급책, 희망 고문 안되게

대북 전략 조속히 마련하기로 합의한 한미정상

▲ e대한경제 = '획기적인 83만가구 공급', 차질없는 실행으로 시장신뢰 얻어야

한·미동맹 재확인한 통화…포괄적 대북전략 마련에 공감

▲ 디지털타임스 = 만시지탄 주택공급대책, 시장 신뢰 여부가 성공의 관건

與, 끝내 퇴직판사 탄핵…국민저항 어찌 감당하려는가

▲ 매일경제 = 만시지탄 주택공급대책 민간 참여가 관건이다

여당 판사탄핵 동조한 대법원장에게 엄중한 책임을 묻는다

文-바이든 첫 통화, 무너진 한·미·일 3자 협력 복원 계기 되길

▲ 서울경제 = 25번째 대책…돌고 돌아 결국 관제 뉴타운식 발상

대법원장 권위' 무너뜨린 김명수 물러나야

"같이 갑시다" 외치려면 회색 전략 버려라

▲ 이데일리 = 한·미정상 통화, 굳건한 동반자관계 복원 출발점 돼야

주택공급 확대, 신속한 실행과 함께 시장 기능 살리길

▲ 전자신문 = 서울시장 선거, 정책 대결 돼야

온라인쇼핑, 해외로 뛰어야

▲ 한국경제 = 정부 '직접 공급'에만 집착해선 집값 안정 어렵다

이번엔 '대출원금 감면법'? 票 된다면 경제원칙 다 흔들 건가

14일 만에 한·미 정상 통화…'동맹 업그레이드' 말보다 실천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비대면 진료시 '위고비' 오남용 없도록" 병원에 당부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는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자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 오남용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위고비 처방 시 충분한 진료를 통해 대상 환자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문을 대한병원협회를 통해 각 병원에발송했다. 위고비는 비만 환자의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환자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정부는 물론 의료계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이러한 경고에도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살피지 않은 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위고비를 처방하는 등 오남용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복지부는 "(위고비를) 다이어트 목적으로 쉽게 처방받을 수 있다고 환자가 오인하게끔 홍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면 진료 시 의약품 오남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위고비 처방 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을 준수하고, 담낭 질환이나 췌장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사전에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 위고비는 국내에서 BMI 30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BMI 27 이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