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서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환자 발생..진드기에 노출

 대전에서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발생했다.

 9일 대전시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충남 공주에 사는 50대 환자가 근육통과 전신 무기력증 등 증상을 보여 충남대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 지난 7일 SFTS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 환자는 2주 전 공주의 한 풀밭에서 진드기에 노출됐던 것으로 조사됐다.

 4∼11월에 원인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SFTS에 걸리면 심한 경우 혈소판과 백혈구 감소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치명률은 12∼47%로 알려져 있다.

 전재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예방 백신이 없는 만큼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고열, 구토 등 소화기 증상을 보이면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3월 공원이나 주택가 산책로 등에서 참진드기 2천997마리를 채집했다.

 올해 1월 11마리, 2월 24마리에서 폭발적으로 늘어난 데다 지난해 3월 1천310마리와 비교해도 배 넘게 많은 것이다.

 당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봄철 진드기 활동이 빨라진 만큼 SFTS와 라임증 등 야생 진드기를 매개로 한 인수공통 전염병 발생 가능성이 커졌다고 우려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깜깜이' 병원평가…"'데이터 통합'으로 기준 바로 세워야"
A병원의 '의사 1인당 병상수'는 1.5명, B병원은 2.0명. 언뜻 B병원의 인력이 더 우수해 보이지만, 이는 착시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기관 평가 지표는 이름만 같을 뿐, 20개에 달하는 평가 제도마다 계산 방식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준이 통일되지 않은 평가는 결국 국민이 내는 건강보험 재정이 진정으로 의료의 질이 높은 병원에 보상으로 가지 못하게 하는 '깜깜이 평가'라는 지적이 나왔다. 보건복지부 의뢰로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최근 수행한 '건강보험 성과보상 근거 마련을 위한 의료기관 평가체계 개편 기반 연구'보고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편화된 현재의 평가 방식을 버리고 '표준화된 원자료(raw data)'를 기반으로 한 통합 평가체계 구축을 시급한 과제로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국내 의료기관은 상급종합병원 지정, 의료 질 평가, 적정성 평가 등 20개의 각기 다른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지표만 1천개가 넘는다. 이로 인해 병원들은 유사한 자료를 평가 기관마다 다른 양식으로 반복 제출해야 하는 행정 낭비에 시달리고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평가 결과의 신뢰성이다. 보고서는 평가지표 이름이 동일하거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국립산림과학원 '산양삼 추출물, 근력개선 효과' 확인…특허출원
국내 대표적인 숲푸드인 산양삼 추출물이 근력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최근 특별관리 임산물인 산양삼에 대한 기능성 평가 연구를 수행한 결과 산양삼 추출물이 근력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산양삼 추출물을 활용해 근위축증과 근감소증 등 다양한 근육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 식의약 소재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수행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산양삼 추출물의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근육세포 생성을 촉진하고, 근위축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양삼은 철저한 생산관리를 통해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이 금지되며, 품질검사를 통과해 합격증을 받은 제품만 유통이 가능하다. 엄격한 관리 기준 덕분에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어 우리나라 대표 숲푸드로 주목받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특허를 출원했다. 앞으로 기술이전을 통해 산양삼 추출물의 산업화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희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장은 "그린 바이오산업 육성과 더불어 산양삼의 다양한 약리 효능을 밝혀 산업계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