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암로디핀, 혈관성 치매 진행 억제"

 칼슘 통로 차단제 계열의 값싼 혈압약인 암로디핀(amlodipine)이 혈관성 치매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혈관성 치매란 알츠하이머(노인성) 치매 다음으로 흔한 형태의 치매로 뇌졸중이나 기타 뇌혈관 손상으로 뇌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들면서 발생한다.

 영국 맨체스터 대학병원 심혈관 전문의 애덤 그린스타인 교수 연구팀은 암로디핀이 혈관성 치매의 원인인 뇌 혈류량 감소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생쥐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영국의 일간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

 혈압이 높고 뇌혈관이 손상된 혈관성 치매 모델 생쥐에 암로디핀을 투여하면서 지켜본 결과 동맥 혈관이 넓어지면서 산소와 영양소가 가장 많이 필요한 뇌 부위들에 대한 혈류량이 늘어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과정에서 연구팀은 혈압이 높으면 Kir2.1이라는 단백질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혈관 내피세포에 있는 이 단백질은 활동량이 많은 뇌 부위들에 혈류를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혈관성 치매 모델 쥐들에서 나타난 이 단백질의 감소를 암로디핀이 회복시켰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새로운 사실은 혈관성 치매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고혈압으로 발생한 뇌 혈류 감소를 회복시키는 데 이 단백질이 표적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혈관성 치매가 어떤 메커니즘으로 발생하는지는 아직 미스터리로 남아있고 현재로서는 치료 방법도 없다.

 혈관성 치매 자체보다는 그 기저 원인에 대처하기 위해 스타틴 계열의 고지혈증 치료제,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 또는 클로피도그렐이 사용될 뿐이다.

 암로디핀은 칼슘 통로 차단제 계열의 혈압약으로 혈관 협착을 유발하는 칼슘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내리게 한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임상 연구학회(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Investigation) 학술지 '임상 연구  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美FDA, 코로나19 백신접종 대상 '65세 이상·고위험군' 제한 추진
미국 보건·의약당국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을 65세 이상 노령층과 고위험군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미 언론이 21일(현지시간) 전했다. 블룸버그 통신과 미 ABC 방송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청(FDA)은 향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65세 이상 또는 기저 질환을 가진 사람들로 제한하기로 하는 계획을 전날 발표했다. 또 FDA의 마틴 마카리 청장과 백신 책임자 비나이 프라사드 박사는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발표한 글에서 건강한 성인과 어린이·청소년에 대한 코로나19 백신은 제약사들이 장기 위약 대조군에 대한 대규모 임상시험을 하지 않을 경우 승인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미 언론은 이런 백신 규제 방침이 제약사들의 비용 부담을 크게 늘려 새로운 백신 개발에 장벽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몇 년간 코로나19 백신은 변종을 거듭해 왔기 때문에 제약사들은 호흡기 바이러스에 취약한 겨울철을 앞두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을 업데이트해왔다. 하지만 FDA 측은 젊고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의 경우 위험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화이자와 모더나 등 제약사들은 코로나19 백신에 관해 FDA와 논의를 진행 중이라면서 젊

메디칼산업

더보기
중기부, 제약바이오벤처 자문단 출범…"급변하는 시장 대응"
중소벤처기업부는 제약바이오 산업 특성을 고려한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제약바이오벤처 자문단'을 출범했다고 밝혔다. 자문단은 제약바이오 기업인과 유관 협회·단체, 중견 제약사, 벤처캐피탈(VC) 등 제약바이오 생태계 핵심 주체들 12명으로 구성했다. 자문단은 급변하는 세계 시장 환경과 기술 트렌드에 대응해 국내 제약바이오 벤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현장 수요에 맞게 전문적인 정책제언을 담당한다. 분기별로 자문위원이 제약바이오벤처 육성정책 방향을 설정하면 월별로 자문위원들이 추천한 실무위원들이 정책기획 방향에 따른 지원정책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구체화한 방안은 다음번 자문단 회의에서 점검해 정책을 빈틈없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중기부는 지난 19일 대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자문단 첫 회의를 열고 자문단 운영계획과 제약바이오 중소벤처 육성정책 추진현황, 현장 애로사항 등에 대해 논의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제약바이오 분야는 개별 기업의 자금 지원만으로는 부족하고 다양한 생태계 구성원 간 협력이 필요하다"며 "자문단의 다양한 제언을 바탕으로 제약바이오벤처 육성정책을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