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 방사선 치료, 1~2주 내 2회로 끝낸다"

영국서 임상시험 개시…현재는 한달동안 20회 치료

 초기 전립선암의 방사선 치료 선량을 늘리고 치료 횟수와 기간을 대폭 단축하는 임상시험이 세계 최초로 영국에서 진행된다.

 영국 왕립 마스덴 병원(Royal Marsden Hospital)과 영국 암연구소(ICR·Institute of Cancer Research)는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의 선량을 올리고 치료 기간과 횟수를 1~2주 내 2회로 단축하는 임상시험을 이번 주부터 시작한다고 일간 텔레그래프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재 초기 전립선암의 표준 방사선 치료는 한 달 동안 약 20회에 걸쳐 시행되고 있다.

 왕립 마스덴 병원 임상 종양 전문의 니컬러스 밴 애스 박사는 최근 방사선 치료의 정확도가 높아지면서 방사선 치료 횟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방사선 치료가 정확해졌다는 것은 암 조직과 함께 정상적인 조직이 손상되는 위험이 줄어들어  그만큼 방사선 선량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됐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환자도 방사선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을 방문하는 횟수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방사선 치료는 1회 선량을 높이면 항암 효과가 커지고, 낮은 선량으로 여러 번 치료하는 것보다 높은 선량을 한 번에 집중하는 것이 암세포 사멸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

 왕립 마스덴 병원 연구팀은 지난달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 선량을 높이고 횟수를 1~2주 동안 5회로 줄여도 안전하다는 임상시험(PACE-B)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2년에 걸쳐 진행된 임상시험에서 참가 환자의 약 90%에서 매우 경미한 부작용만 나타났고 99%는 심각한 부작용이 없었다.

 이는 선량을 높이고 치료 기간을 단축해도 방사선 독성으로 인한 장기적인 손상 위험이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임상시험 결과는 유럽 방사선치료·종양학회(ESTRO·European Society for Radiotherapy and Oncology)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영국에서는 매년 약 4만8천500명의 전립선암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초기에 진단되면 방사선 치료로 80%의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에 비상진료체계 2년째…올해 지속시 건보적자 1.7조↑
의정 갈등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정부가 2년째 가동하고 있는 비상진료체계가 올해도 계속될 경우 건강보험 누적 적자액이 대폭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6일 국회예산정책처가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실에 제출한 '건강보험 재정 전망'에 따르면, 정부가 작년 2월부터 가동 중인 비상진료체계를 올해 말까지 유지할 경우 건강보험 누적 적자액이 1조7천억원 늘어난다. 이는 비상진료체계를 작년 말에 종료했다고 가정한 추계값과 비교한 결과다. 비상진료체계는 보건의료 위기 시 중증·응급환자 진료 등을 독려하기 위해 정부가 건강보험 재정을 이용해 의료기관을 지원하는 제도다. 보건복지부는 작년 2월 의료개혁 4대 과제와 의대 정원 2천명 증원 계획 발표 후 전공의가 집단 사직하는 등 의정 갈등이 본격화하자,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 최상위 단계인 '심각'을 발령했다. 이와 함께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해 일부 진료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를 한시적으로 인상하고, 수련병원에 건보 급여를 선지급하는 등 매달 2천억원 안팎의 건보 재정을 투입했다. 정부는 비상진료체계를 위기경보 심각 단계 해지 시까지 가동할 계획이다. 정부가 작년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비상진료 건강보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30년 된 먹는샘물 관리체계 개선한다…해썹 같은 인증제 도입도
정부가 30년 된 먹는샘물 관리체계를 개선한다. 환경부는 이달 말 '먹는샘물 관리 선진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재작년부터 관련 연구용역을 시작하는 등 먹는샘물 관리체계 개선작업을 진행해왔다. 먹는샘물은 지하수와 용천수 등 자연의 깨끗한 물을 먹기 적합하게 만든 물을 말한다. 시중에 판매되는 생수 상당수가 먹는샘물이다. 환경부는 먹는샘물 원료인 원수(原水)에 대해서는 48개 항목, 먹는샘물 자체에 대해서는 52개 항목의 기준을 두고 분기별로 검사한다. 병원성이 없는 일반세균의 경우 먹는샘물 제품보다 원수에 적용되는 기준이 더 엄격하다. 원수의 경우 저온세균과 중온세균이 1㎖당 각각 '20CFU(집락형성단위·특정 조건에서 생존할 수 있는 세균을 세는 단위) 이하'와 '5CFU 이하'여야 한다. 제품은 저온세균과 중온세균 기준이 각각 '100CFU 이하', '20CFU 이하'다. 애초부터 깨끗한 물로 먹는샘물을 만들란 취지로 이러한 기준이 설정됐는데 업체들 불만이 많았다. 먹는샘물 업체 수질기준 위반 사례 가운데 상당수가 원수 일반세균 기준을 어긴 경우라고 한다. 이에 일반세균 기준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방안이 이번 선진화 방안에 포함될 것으로 알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