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인도 '건강 주치의' 전문관리…고혈압·당뇨 무료검진도

복지부, 내일부터 장애인 건강주치의 3단계 시범사업 시행

 앞으로 정신 장애인도 자신의 주치의를 통해 장애에 대한 전문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고혈압이나 당뇨를 앓고 있는 장애인의 경우,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는 바우처도 제공한다.

 보건복지부는 30일부터 이러한 내용의 '장애인 건강 주치의' 3단계 시범사업을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은 중증 장애인이 거주 지역이나 자주 이용하는 의료기관에서 자신의 건강 주치의를 직접 선택하고, 주치의로부터 주 장애는 물론 만성질환 등 전반적인 건강 문제를 지속해서 관리받는 제도다.

 이에 따라 장애인 건강주치의는 담당 환자의 건강 상태나 흡연·음주·운동·영양 상태 등 생활 습관, 병력, 질환 상태를 평가해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건강 및 장애 관리에 대한 교육과 상담을 제공한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애인은 전체 비용의 10%를 부담하게 되며, 의료급여 대상자나 차상위 계층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은 관리 범위에 따라 의원을 통해 만성질환을 관리하는 '일반건강관리', 종합병원 등에서 전문적으로 장애를 관리받는 '주장애관리', 일반건강관리와 주장애관리 서비스를 함께 받는 '통합관리' 등 3가지로 나뉜다. 

 이번 3단계 시범사업에서는 기존에 지체·뇌병변·시각 장애 유형에만 제공됐던 주장애관리 서비스를 지적·정신·자폐성 유형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또 만성질환 관리 범위를 넓히기 위해 일반건강관리 및 통합관리 서비스를 받는 장애인 중 고혈압·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콜레스테롤·심전도·알부민뇨·혈중 크레아티닌 등 검진 바우처를 제공한다. 검사 비용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지원을 받아 별도의 본인 부담금이 없다.

 의사소통이 어려워 주치의와 대면 교육이 어려운 경우에는 보호자가 대신 교육 상담을 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수가에 반영되도록 했다.

 아울러 장애인의 수요가 높은 방문진료·방문간호 서비스는 연 12회에서 18회로 늘려 의료기관 방문이 어려운 장애인의 접근성을 높였다.

 또 10분 단위로 교육 상담료를 세분화하고, 방문 진료 시 발생하는 비용을 포함하는 수가 항목을 신설해 주치의의 방문 진료를 활성화하도록 했다.

 시범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장애인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누리집(nhis.or.kr)의 '장애인 건강주치의 의료기관 찾기'에서 원하는 주치의를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

 이선영 복지부 장애인정책과장은 "이번 3단계 시범사업을 통해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을 활성화하고, 건강주치의가 장애인의 든든한 건강 동반자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