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최고 가치…선진 17개국 중 한국만 "물질적 풍요" 꼽아

 

 당신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게 뭔가요?

 미국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가 올해 초 한국을 포함한 17개 선진국 성인 약 1만9천 명을 상대로 '무엇이 삶을 의미 있게 하는가'를 주제로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를 최근 공개했는데요.

 한국만 유일하게 '물질적 풍요'(material well-being)를 1위로 꼽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 대상 17개국 중 14개국에서 '가족'이라고 답한 사람이 가장 많은 것과 대조되는 결과인데요.

 소셜미디어(SNS)에서는 이를 두고 '한국이 돈에 가장 민감한 국가'라는 해석이 널리 퍼지기도 했죠.

 빈부 격차가 커지면서 양극화가 심해진 결과가 반영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고요.

 전문가들은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야만 안정을 누릴 수 있다는 불안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했는데요.

 임운택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는 "우리 사회에서는 복지 체제가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측면도 있어서 행복 혹은 삶의 가치를 추구하는 유일무이한 척도가 결국은 이제 돈인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물론 한국에서 물질적 풍요라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 응답자들의 중간값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유독 한국인들만 돈을 따지는 것으로 볼 수 없다는 반론도 나오는데요.

 한국의 경우 복수 응답이 가능한 주관식 설문에서 한 가지로만 답한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았던 탓으로 풀이됩니다.

 대부분 국가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로 꼽힌 가족이 한국에서는 3위로 밀린 것도 눈에 띄는 대목인데요.

 김진수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가족에 대한 인식 자체는 한국이 더 높은데 우리는 그것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그 소중함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대체로 2∼3위를 차지한 직업을 한국에서 삶에 의미 있는 가치로 꼽은 비율은 6%에 불과했는데요. 이는 17개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정 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직업에 소명 의식을 느낀다고 해도 소득이 부동산 같은 자산 가격의 폭등을 쫓아가지 못한다"면서 "그러다 보니 직업이라는 게 너무 하찮아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건강'은 조사 대상의 ⅓ 정도가 삶의 중요한 3대 가치 중 하나로 꼽았는데요. 여러분은 삶을 가장 의미 있게 만드는 게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