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3일 조간)

▲ 경향신문 = 역대 1위 기록 다 바뀐 '한반도 기후보고서'의 경고

생활물가 들썩, '고환율 베팅' 최상목이 잡을 수 있나

관세 전쟁에 금융 불안한데, 무책임한 금감원장 사의 표명

탄핵 선고 앞두고 긴장 고조… 불법 폭력 단호히 대처해야

▲ 동아일보 = 野 "더 센 상법 개정 추진"… 자본시장법 바꾸면 될 일을 왜 굳이

수업 불참하는 의대생… '무늬만 복귀'에 더는 특혜 없어야

첨단무기, 원전, 소고기… 상식 밖 美 '비관세 장벽' 뭘 노리나

▲ 서울신문 = 가계부채에 물가 상승까지… 스태그플레이션 선제 대응을

대만해협 긴장, "金과 뭔가 할 것"… 심상찮은 안보 파고

정치권 선동 접고, 정부는 불상사 없게 만반 대비를

▲ 세계일보 = 여야, 尹 탄핵 선고 앞두고 불복·폭력 부추겨선 안 돼

'전략지침'과 달리 한·미·일 북핵 대응 강조한 美 합참의장

내수 최악인데도 물가는 들썩, 선제대응 나서야

▲ 아시아투데이 = 정치권, 사회 혼란 초래하는 언행 자중하라

윤 대통령 탄핵 기각·각하를 예상하는 이유

▲ 조선일보 = 이제 李 재판 사실상 시늉만 내겠다는 판사들

尹·李 '불복 시위' 바라고 "승복" 선언 안 하나

45㎞ 송전선로 완공에 22년, 어떻게 AI 경쟁하나

▲ 중앙일보 = 국회, 승자독식 폐해 막을 '분권형 개헌' 논의 즉각 나서라

헌재 결정 불복 부추기는 위험한 선동 발언 멈춰야

▲ 한겨레 = 결국 닥친 트럼프 '복합 관세', 장기전 준비해야

탄핵심판 승복은 '국민' 아닌 '윤석열'이 하는 것이다

내란사태 영향 가공식품 물가, 정부 책임지고 나서라

▲ 한국일보 = 청소년 숏폼 과중독, 그냥 방치할 일 아니다

헌재 탄핵선고 불복은 국가 파괴 행위다

제대로 시행도 전에 미 관세 표적된 한국 IT 규제

▲ 글로벌이코노믹 = 저소득층 체감물가 주범은 식비·주거비

미 관세전쟁 청사진 '미란 보고서'의 함정

▲ 대한경제 = '적정공사비 산정기준' 개발, 건설 정상화에 기여

준공에 21년이나 걸린 40㎞짜리 송전선로

▲ 디지털타임스 = 90년전 '무역전쟁' 망령 소환 트럼프 관세, '사즉생' 각오 임해야

▲ 매일경제 = 챗GPT 이용자 5억명… 한국은 AI혁명 추종자로 남을것인가

가공식품 물가 들썩, 정국혼란 틈탄 얌체인상 없어야

"이제 국민의 시간"… 내일 韓 민주주의·시민의식도 시험대

▲ 브릿지경제 = 탄핵 정국 끝내고 부동산 법안들 바로 처리하라

▲ 서울경제 = 기업 경영 위축시키는 '더 센' 상법 개정 밀어붙일 때인가

與野 정년 연장 논의, 선거용 아닌 다양한 계속고용 방안 찾아라

세계 무역전쟁 발발 … 民官政 유기적 협력으로 파고 넘어야

▲ 이데일리 = 포문 연 글로벌 관세전쟁, 각자도생 시대의 생존법

임도건설·하천정비, 지자체 이양에 문제 있다

▲ 이투데이 = 이 시기에 '경제부총리 탄핵' 겁박, 해도 너무한다

▲ 전자신문 = 창경센터, 지역 창업허브로 거듭나야

▲ 파이낸셜뉴스 = 다시 물가상승을 경계할 때다

"유혈 사태" 운운이 바로 내란 선동 아닌가

▲ 한국경제 = 산불 이재민 속타는데 … 탄핵 선고 핑계로 추경 논의 중단한 여야

45㎞ 송전선로 건설에 21년 걸린 나라

억지투성이 美 무역 보고서 … 정교한 반박 논리로 무장할 때

▲ 경북신문 = 헌재 선고에 승복하고 통합하는 길 찾아야

▲ 경북일보 = 헌재 선고 앞 정치권이 불복·폭력 선동해서야

▲ 대경일보 = 산불 예방, AI 감시카메라 등 첨단 시스템 도입 서둘러야

국난극복 현장에서의 상왕정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