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수술 받으면 모든 형태의 치매 위험 낮아진다"

 백내장 수술을 받은 사람은 알츠하이머 치매를 포함, 모든 형태의 치매 위험이 낮아질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백내장은 나이가 들어 눈의 수정체가 혼탁해지면서 시력이 떨어지는 안과 질환으로 인공 수정체 대체 수술로 치료가 가능하다. 80세가 넘으면 50% 이상에서 백내장이 나타난다.

 미국 워싱턴 대학 의대 안과 전문의 세실리아 리 박사 연구팀이 백내장 또는 녹내장 진단을 받은 65세 이상 남녀 3천38명을 대상으로 1994∼2018년 진행한 추적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UPI 통신이 6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2년에 한 번씩 '인지 능력 검사 도구'(CASI: Cognitive Abilities Screening Instrument)로 인지기능 테스트를 시행했다.

 CASI는 치매, 질병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주의력, 집중력, 지남력, 장단기 기억, 언어 능력, 시각 능력을 평가하는 인지기능 테스트이다.

 100점이 만점인 이 테스트에서 성적이 크게 떨어진 사람은 치매 진단을 위한 신경 검사를 진행했다.

 추적 연구 대상 중 백내장 환자(1천382명)는 45%가 백내장 수술을 받았다.

 이들은 수술 후 10년 사이에 모든 형태의 치매 발생률이 약 3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기간 709명이 알츠하이머 치매, 853명이 다른 형태의 치매 진단을 받았다.

 그러나 녹내장 수술을 받은 사람은 이러한 감소 효과가 없었다고 연구진은 평가했다.

 녹내장은 안구에 영양을 공급하는 동시에 안압을 유지해 주는 눈 속의 체액인 방수(房水)의 배출구가 좁아지면서 안압이 상승, 망막의 시신경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시력이 점차 떨어지면서 실명에도 이를 수 있다.

 시각장애는 모든 형태의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독립적인 일상생활 영위가 어렵고 삶의 질이 떨어지면서 신체와 정신 활동이 위축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 결과에 대해 알츠하이머병 약물 발견 재단(Alzheimer's Drug Discovery Foundation)의 하워드 필리트 박사는 나이를 먹으면서 나타나는 감각의 변화가 어떻게 치매 위험을 높이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논평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내과학(JAMA Internal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美FDA, 코로나19 백신접종 대상 '65세 이상·고위험군' 제한 추진
미국 보건·의약당국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을 65세 이상 노령층과 고위험군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미 언론이 21일(현지시간) 전했다. 블룸버그 통신과 미 ABC 방송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청(FDA)은 향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65세 이상 또는 기저 질환을 가진 사람들로 제한하기로 하는 계획을 전날 발표했다. 또 FDA의 마틴 마카리 청장과 백신 책임자 비나이 프라사드 박사는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발표한 글에서 건강한 성인과 어린이·청소년에 대한 코로나19 백신은 제약사들이 장기 위약 대조군에 대한 대규모 임상시험을 하지 않을 경우 승인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미 언론은 이런 백신 규제 방침이 제약사들의 비용 부담을 크게 늘려 새로운 백신 개발에 장벽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몇 년간 코로나19 백신은 변종을 거듭해 왔기 때문에 제약사들은 호흡기 바이러스에 취약한 겨울철을 앞두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을 업데이트해왔다. 하지만 FDA 측은 젊고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의 경우 위험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화이자와 모더나 등 제약사들은 코로나19 백신에 관해 FDA와 논의를 진행 중이라면서 젊

메디칼산업

더보기
중기부, 제약바이오벤처 자문단 출범…"급변하는 시장 대응"
중소벤처기업부는 제약바이오 산업 특성을 고려한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제약바이오벤처 자문단'을 출범했다고 밝혔다. 자문단은 제약바이오 기업인과 유관 협회·단체, 중견 제약사, 벤처캐피탈(VC) 등 제약바이오 생태계 핵심 주체들 12명으로 구성했다. 자문단은 급변하는 세계 시장 환경과 기술 트렌드에 대응해 국내 제약바이오 벤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현장 수요에 맞게 전문적인 정책제언을 담당한다. 분기별로 자문위원이 제약바이오벤처 육성정책 방향을 설정하면 월별로 자문위원들이 추천한 실무위원들이 정책기획 방향에 따른 지원정책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구체화한 방안은 다음번 자문단 회의에서 점검해 정책을 빈틈없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중기부는 지난 19일 대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자문단 첫 회의를 열고 자문단 운영계획과 제약바이오 중소벤처 육성정책 추진현황, 현장 애로사항 등에 대해 논의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제약바이오 분야는 개별 기업의 자금 지원만으로는 부족하고 다양한 생태계 구성원 간 협력이 필요하다"며 "자문단의 다양한 제언을 바탕으로 제약바이오벤처 육성정책을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