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혈 치료제 '계지복령환' 통증 개선 효능 입증

 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의과학연구부 정지연 박사 연구팀이 대표적 어혈(瘀血) 치료제인 계지복령환의 어깨 통증·혈중지질 개선 효능을 과학적으로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계지·복령·목단피·도인·작약으로 구성된 계지복령환은 주로 갱년기장애·월경이상·타박상 등 어혈 제거에 사용되는 한약 처방 가운데 하나다.

 한의학에서는 어혈이 몸의 정상적인 순환을 막고, 경락의 소통을 가로막아 질환을 유발한다고 본다.

 연구팀은 임상시험을 통해 계지복령환이 만성통증·신경염증과 관련 있는 아르기닌, 트립토판 등 대사 패턴을 조절해 어깨 통증을 개선하고, 혈중지질 수치도 개선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치료 8주 후 치료군과 대조군에서 치료 전 어깨 통증(VAS)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특히 치료군에서는 대조군보다 약 1.6배 감소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고미미 박사는 "계지복령환은 어깨통증과 같은 근골격계 염증성 통증 질환에 효과가 있어 임상에서 자주 쓰이고 있으나 치료 원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였다"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품목허가용 임상시험계획을 승인받아 이상지질혈증 치료 효능과 안전성 연구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1년 6개월만에 돌아온 의대생, 첫 수업은 '설렘반, 걱정반'
"어젯밤 병원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니 떨려서 잠이 잘 오지 않았습니다." 지난 11일 오전 부산대병원 내 글로컬임상실증센터. 최근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휴학했던 의대생이 속속 학업에 복귀하는 가운데 이날 부산대 의대 본과 3학년 학생들의 복귀 이후 첫 임상 실습 수업이 열렸다. 하얀 의사 가운을 입고 목에 청진기를 맨 학생 3명은 다소 어색한 표정으로 담당 교수와 함께 수업에 들어갔다. 부산대 의대 본과생들은 3∼4명씩 조를 나눠 지도교수의 감독 아래 외래, 병동, 수술실 등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수술실을 재현한 실습실에서 본과 3학년 송모(26)씨가 기도 삽관에 도전했다. 송씨가 환자 모형의 기도를 확보한 뒤 동기에게서 튜브를 건네받아 기관 안에 삽입했다. 이어 그럴듯한 모습이 완성되자 학생들이 기관 내 삽입한 튜브에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연결해 여러 차례 눌렀다. 시술이 제대로 이뤄졌다면 부풀어야 할 폐 모형은 미동도 하지 않았다. 이를 본 부산대 의대 부학장인 이정규 가정의학과 교수가 "이 경우 기도삽관이 잘못된 것이죠"라고 설명했다. 학생이 머쓱한 표정을 짓자 이 교수는 "처음에는 누구나 어렵다"며 "다만 응급 환자에게는 바로 적용해야 하는 시술이니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