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심야와 휴일 운영 '달빛어린이병원' 확대 추진…9곳→15곳 목표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경기도는 소아들의 진료 사각 시간대를 메우는 '달빛어린이병원'을 현재 9곳에서 15곳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달빛어린이병원은 18세 이하 경증 소아 환자가 신속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심야나 휴일에도 운영하는 공공 심야 어린이병원으로, 상급종합병원을 제외하고 지역 내 병·의원에서 소아환자 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 중에서 시도지사가 지정한다.

 운영 시간은 정규 진료시간이 끝난 오후 6시부터 12시(적어도 11시까지), 휴일은 오전 9시(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오후 6시)까지이다.

 응급실을 방문하지 않아도 되는 정도의 경증 소아환자를 분산 치료할 수 있고, 응급실 이용에 따른 의료비용 부담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진료비는 평균 3만9천원 정도인 응급실의 절반 수준만 부담하면 된다.

 2019년 기준 국내 소아응급실(소아응급의료센터와 소아전용응급실을 갖춘 의료기관)의 경우 이용자의 50.4%가 소아 경증환자였다.

 도내에는 ▲ 성세아이들병원(평택) ▲ 일산우리들소아청소년과(고양) ▲ 아주맑은소아과의원(수원) ▲ 아이맘어린이병원(남양주) ▲ 정석소아청소년과병원(남양주)▲ 튼튼어린이병원(의정부) ▲ 드림365소아청소년과의원(양주)에 이어 이달 들어 동탄성모병원(화성)과 베스트아이들병원(화성)이 추가로 지정됐다.

 경기도에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0~12세 아동 148만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2018년 7만1천명, 2021년 13만3천명, 올해 들어 6월까지 21만7천명이 달빛어린이병원을 이용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성인 8%만 "연명의료 지속"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연명의료 결정은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하지도 연장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택하겠다는 응답자가 35.5%, '의사조력자살'이 15.4%로 뒤를 이었다.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모두 의사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죽음을 유도하는 약물을 처방하는 것인데, 안락사는 의사가 직접 약물을 투여하고, 의사조력자살은 환자 스스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연명의료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