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가수, 덜 유명한 가수보다 조기 사망 위험 33% 높아"

獨 연구팀 "美·유럽 가수 648명 비교…유명 가수가 약 4년 일찍 사망"

 '유명세'도 사망 위험 요인일까?

 미국과 유럽 가수들에 대한 연구에서 유명 가수들의 조기 사망 위험이 덜 유명한 가수들보다 33% 높으며 이로 인해 약 4년 일찍 사망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독일 비텐-헤르데케대학 미하엘 두프너 박사팀은 국제학술지 역학·지역사회 보건 저널(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에서 미국·유럽 가수 중 스타 324명과 덜 유명한 324 명을 대상으로 한 사망 위험 분석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27알 벍혔다.

 이전 연구들은 유명 가수들이 일반인보다 더 일찍 사망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팀은 그 원인이 유명세 자체 때문인지, 음악산업이 가수에게 주는 부담 때문인지, 또는 가수들의 생활 방식 때문인지 등은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비평가·전문가 평가 기반 음악·가수 랭킹 사이트(acclaimedmusic.net)의 '역대 아티스트 Top 2000'에서 스타 가수와 덜 유명한 가수 324명씩을 선택해 사망 위험을 비교했다.

 사망 위험을 충분히 추적하기 위해 1950~1990년 활동한 가수들만 포함했고, 두 그룹 가수의 출생 연도, 성별, 인종·민족, 음악 장르, 솔로 또는 밴드 여부, 밴드 리드보컬 여부 등은 일치시켰다.

 포함된 가수는 남성이 83.5%, 평균 출생 연도는 1949년, 북미 출신이 61%였다.

 장르는 록 65%, 리듬 앤드 블루스(R&B) 14%, 팝 9%, 뉴웨이브 6%, 랩 4%, 일렉트로니카 2% 순이었다. 밴드 멤버가 59%였고, 솔로는 29%, 밴드·솔로 겸업 12%였다.

 분석 결과, 덜 유명한 가수들은 평균 79세까지 산 반면 스타 가수들의 평균 수명은 75세로 4년 더 일찍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솔로 가수의 사망 위험은 밴드 가수보다 26% 높았지만 이 변수를 포함해도 유명 가수들은 덜 유명한 가수들보다 더 일찍 사망할 위험이 33%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33%는 '간헐적 흡연'으로 인한 사망 증가 위험(34%)과 비슷한 수준이다.

 또 사후에 명성을 얻은 가수는 단 2명(0.6%)이었으며, 유명 가수들의 높은 사망 위험은 유명해진 후 시작됐고 인기를 누린 시기 전반에 걸쳐 유의미하게 유지됐다.

 연구팀은 유명 가수의 사망 위험 증가는 유명세와 함께하는 강도 높은 대중의 감시, 공연 압박, 사생활 상실 등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원인일 수 있다며 이들에 대한 맞춤형 보호와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연구는 관찰 연구로 인과관계를 보여줄 수 없으며 분석 대상도 일부 지역의 가수에 국한돼 있어 다른 지역이나 영화·스포츠 등 분야의 유명세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출처 :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Michael Dufner et al., 'The price of fame? Mortality risk among famous singers', https://jech.bmj.com/lookup/doi/10.1136/jech-2025-224589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약국광고에 '최고·창고형·특가' 못써…약사법 하위법 입법예고
보건복지부는 소비자를 유인하는 약국 광고 내용을 제한하는 약사법 하위법령 개정안을 내년 1월 7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28일 밝혔다. 예고된 약사법 시행규칙 개정안에는 약국 광고 시 객관적인 근거 없이 '최대', '최고', '최초', '제일 큰' 등의 배타적·절대적 용어 사용으로 소비자를 오인시킬 우려가 있는 표시를 제한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한 '창고형', '마트형', '성지', '특가', '할인' 등의 용어를 사용해 다른 약국보다 제품의 다양성이나 가격 경쟁력 면에서 유리하다고 암시하는 표시도 제한됐다. 복지부는 이번 개정이 "소비자를 유인해 의약품의 불필요한 소비나 오·남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약국 광고의 제한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 외 약사법 하위법령 개정안에는 약국 개설자가 동물병원에 전문의약품을 판매한 후 다음 달 말까지 판매 내역을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의 장에게 전산으로 보고하고, 미보고 또는 거짓 보고 시 1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약사법 하위법령과 함께 입법예고된 '의료기기 유통 및 판매질서 유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에는 의약품·의료기기 공급자 등이 작성하는 '경제적 이익 등의 제공 내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