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옛길 6대로 550㎞ 전 구간 복원…2013년 복원 이후 10년 만

 경기도의 대표적인 역사문화 탐방로인 '경기옛길' 6대로 550㎞ 전 구간이 모두 복원됐다. 2013년 복원을 시작한 이후 10년 만이다.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은 오는 15일 오후 2시 김포시 새장터공원에서 '경기옛길 6대로 개통식'을 열고 본격적인 경기옛길 알리기에 나선다.

 경기옛길은 조선시대 실학자 신경준 선생이 집필한 도로고(道路考)의 육대로(六大路)를 토대로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한 탐방로다.

 2013년 삼남길(과천~평택 98.5㎞)과 의주길(고양~파주 60.9㎞), 2015년 영남길(성남~이천 116㎞), 2020년 평해길(구리~양평 133.2㎞), 2021년 경흥길(의정부~포천 88.8㎞)에 이어 이번에 6번째 마지막으로 강화길(아라김포여객터미널~강화대교 52㎞)이 개통됐다.

 강화길(김포옛길)은 조선시대 강화도로 향하는 간선도로 중 하나로, 이 길을 걷다 보면 당산미(堂山尾), 김포아트빌리지, 김포장릉, 김포한강조류생태공원 등 다양한 명소를 만날 수 있다.

 조선시대 6대 간선도로였던 영남대로는 한양과 부산 동래를 잇는 조선통신사(일본 막부장군에게 파견된 공식 외교사절)가 거쳐 갔던 길로 1910년까지 존재했다.

 가장 먼저 복원된 삼남길은 충청·전라·경상도로 향했던 삼남대로를 원형으로, 의주길은 중국으로 가던 의주대로를 기반으로 각각 조성됐다.

 경기옛길은 누구나 예약 등 별도 절차 없이 자유롭게 방문하면 된다. 경기옛길 전용 앱을 통해 주변 문화유산에 대해 음성 해설을 들을 수 있고 완주 인증도 받을 수 있다. 자세한 정보는 경기옛길 누리집(www.ggc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는 앞으로 경기옛길의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펼칠 예정이다.

 앞서 도는 지난해 11월 도 외곽 860㎞를 연결하는 '경기둘레길' 전 구간을 개통했다. 15개 시군에 걸쳐 중간중간 끊겼던 숲길, 마을안길, 하천길, 제방길을 연결했는데, 경기옛길과 함께 경기도의 대표적인 도보여행길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