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잎 유래 성분의 독감 바이러스 억제 효능 확인

한의학연 "신·변종 인플루엔자 치료제 개발 활용 기대"

 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의기술응용센터 마진열 박사 연구팀이 연잎 유래 성분인 이소케르시트린이 독감 유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효능을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소케르시트린은 연잎을 비롯해 여러 천연물에도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지카·에볼라·헤르페스 등 다양한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연구팀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세포에 부착·침투하는 단계에서 낮은 농도의 이소케르시트린이 이를 방해하고, 바이러스를 직접 죽이는 효과를 확인했다.

 이어 세포 내에서 바이러스가 증식 후 배출되는 단계에서도 바이러스를 억제해 치료 효능을 확인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잎은 그동안 항산화·항암·항염·간보호·항비만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진열 박사는 "현재까지 독감 치료제는 타미플루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내성 바이러스 출현 등 부작용도 있다"며 "이번 연구 성과가 신·변종 인플루엔자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껌 씹기와 전기자극치료 병행, 노인 음식물 삼킴 능력 향상
껌 씹기 운동과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하면 구강 근력을 높일 수 있어 음식물 삼킴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선대에 따르면 이 대학 작업치료학과 최종배 교수 연구팀은 최근 전기자극치료와 껌 씹기 운동의 병행이 고령층의 삼킴 능력과 구강 건강 개선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내용의 새로운 재활 치료법을 제시했다. 고령층은 근육량 감소로 씹는 힘과 침 분비 기능이 저하되는 '근감소성 삼킴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다. 이로인해 식사와 삼킴이 어려워지고 건강이 악화하지만, 일상 속 껌 씹기 운동만으로는 개선 효과를 얻기 힘들다. 연구팀은 '전기자극치료와 껌 씹기 운동을 결합한 재활치료법'을 개발하고, 65세 이상 노인 40명을 대상으로 껌 씹기 운동만 시행한 그룹과 저작근(씹는 근육)에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그룹을 비교했다. 4주간의 연구 결과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그룹은 씹는 힘, 저작근 두께, 구강 점막의 수분도가 모두 증가했다. 단순 껌 씹기 운동만 실시한 그룹보다 개선 효과가 확연히 높았으며, 연구팀은 전기자극이 근육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성화해 저작근 강화와 침샘 기능을 촉진한 결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