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막증, 정신질환과 유전적 연관성"

 자궁내막증(endometriosis)은 유전적으로 여러 정신질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궁내막증은 수정란이 착상하는 장소인 자궁 내막이 난소, 복막, 방광, 나팔관 등 다른 장기에 부착해 여성 호르몬에 의해 증식하면서 인근 장기들과 유착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극심한 골반통과 월경통이 나타난다. 정확한 원인은 모르며, 따라서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법도 없다. 가임기 여성 9명 중 1명에게서 발생한다.

 미국 예일 대학 의대 정신의학 전문의 도라 콜러 교수 연구팀은 자궁내막증은 우울증, 불안장애, 섭식장애(eating disorder) 등 정신질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자궁내막증 환자 8천276명(평균연령 53.1세)과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조군 여성 19만4천 명(평균연령 56.7세)의 유전체(genome)를 다변량 회귀분석법(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자궁내막증 환자는 자궁내막증이 없는 여성에 비해 우울증, 섭식장애, 불안장애 발생률이 각각 3.61배, 2.94배, 2.6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러한 연관성은 유전자의 발현 형질(phenotypic)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유전자의 표현형이라고도 하는 발현 형질은 눈동자의 색깔이나 곱슬머리 같은 겉으로 나타나는 유전형질을 말한다.

 연령, 체질량 지수(BMI), 사회경제적 수준, 자궁내막증에 의한 만성 통증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했어도 자궁내막증과 정신 질환 사이의 이러한 유전적 연관성에는 변함이 없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는 자궁내막증이 신체 건강만이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유전적, 역학적 증거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자궁내막증에 의한 만성 통증도 우울증, 불안장애, 섭식장애를 유발할 수는 있지만, 그 어떤 생물학적 메커니즘이 자궁내막증과 정신질환을 모두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사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생후 2개월·1.1㎏' 미숙아 심장병, 비수술로 치료 성공"
국내 의료진이 생후 2개월째에 몸무게가 1.1㎏에 불과한 초미숙아의 선천성 심장 질환을 비수술 방식으로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송진영·성세인 교수팀은 지난해 11월 8일 생후 2개월째에 선천성 심장질환의 하나인 '동맥관개존증'으로 비수술적 치료(폐쇄술)를 받은 윤슬이가 최근 건강히 퇴원했다고 1일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윤슬이는 임신 28주 4일 만에 세상에 나왔다. 태어났을 때 몸무게가 680g에 불과해 이른둥이 가운데서도 초극소저체중에 속했다. 초극소저체중만으로도 아이의 건강을 걱정해야 했지만, 윤슬이는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미숙아에게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로 꼽히는 동맥관개존증을 진단받았다. 동맥관개존증은 자궁 내 태아의 혈액순환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동맥관이란 혈관이 출생 후에도 계속 열려 있는 상태를 말한다. 원래는 생후 초창기에 자연적으로 막히는 게 정상이지만, 미숙아에게서는 계속해서 열려있는 경우가 많다. 동맥관이 열린 상태가 지속되면 심내막염이나 폐부종과 같은 합병증은 물론 심부전 등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 질환은 수술과 비수술 방식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요즘은 혈관 속에 기구를 넣어 열려있는 동맥관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