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환자 안압 측정과 안약 투여 자동관리…스마트 콘택트렌즈 개발

포항공대 한세광 교수-김태연 박사 연구 결과 국제학술지에 게재

 녹내장 환자의 안압 측정과 안약 투여를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스마트 콘택트렌즈'가 개발됐다.

 포항공대(포스텍)는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 김태연 박사 연구팀이 녹내장의 안압 진단 센서 및 안압 조절용 유연성 약물전달시스템이 장착된 무선 구동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녹내장 환자의 안압을 관찰하기 위한 안압 센서는 상용화된 사례가 있다.

 그러나 안압 수준에 반응해 적절한 약물 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기술은 개발된 바 없다.

 연구팀은 고민감도 안압 센서, 유연성 약물전달시스템, 무선 전력-통신 시스템 등을 정밀하게 통합한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

 이 렌즈를 녹내장이 유발돼 안압이 높아진 토끼를 대상으로 실험해 안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적절한 약물을 방출해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지에 실렸다.

 한세광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녹내장 안압 진단 및 치료용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조기 상용화해 녹내장 환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데 이바지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장 내 승모판 역류증, 성별 따라 수술 시점 달라져야"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은 노화로 인해 심장의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입구에 위치한 승모판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심장 판막 질환이다. 역류 현상이 지속되면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질환 발생 초기부터 사망 위험이 더 높아 성별에 따라 수술 시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곽순구·이승표 교수 연구팀은 2006∼2020년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1천68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현재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의 표준 치료는 판막 성형술이나 인공 판막치환술과 같은 수술이다. 수술은 좌심실에 들어온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간 비율을 뜻하는 '좌심실 박출률'을 토대로 좌심실 기능 저하 여부를 판단해 결정한다. 환자에게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좌심실 박출률이 60% 이하이면 수술을 고려하도록 권고된다. 연구팀이 성별에 따른 좌심실 기능과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좌심실 박출률이 55%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망률이 유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