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5일 조간)

▲ 경향신문 = 성장엔진 꺼진 한국 경제, 국회서 추경 대폭 증액하라

▲ 국민일보 = 우클릭 李 전 대표 큰 격차 리드, 대선은 결국 중도 싸움

역성장 韓 경제 … 관세 협상과 추경 처리로 돌파구 열어야

중국의 서해 무단 구조물 설치, 국제 공조로 대응해야

▲ 동아일보 = 李 '국내 생산 촉진稅' 핵심 공약으로 … 상속세도 같이 손봐야

1, 2호 '국가석학' 中에 뺏긴 韓 … 가진 거라곤 '사람'뿐인 나라가

中 '서해구조물' 퇴거 안 할 땐 우리도 비례적 대응 나서라

▲ 서울신문 = 뼈아픈 '0.2% 역성장'에도… '韓대행 논란'에 갈라진 추경

'대중 관세' 꼬리 내린 트럼프… 한미 협의도 보폭 조절을

속도 내는 대법 '李 선거법' 재판, 정치권은 외압 멈추라

▲ 세계일보 = '前 사위 특혜채용' 해명 없이 버티다 재판 넘겨진 文

1분기 역성장 쇼크, 소비·투자 회복에 총력 기울이길

선관위 해킹 시도, 철저 대비로 '음모론' 불식해야

▲ 아시아투데이 = 안철수·이준석, '反이재명 빅텐트' 합류하길

법원은 文사건 제대로 판결해야

▲ 조선일보 = 국힘 정책硏 "국민께 진심으로 계엄 사죄 드린다"

IMF 사태 능가한 저성장, 올 것이 온 것

한국 경제 활로 보여준 SK하이닉스의 혁신

▲ 중앙일보 = 1분기 역성장 쇼크 … 저성장 고착 막을 성장 동력 찾아야

또 전 대통령 법정행 … 친인척 관리 그렇게 어려웠나

▲ 한겨레 = 문재인 전 대통령 뇌물죄 기소한 검찰, 정치보복 아닌가

1분기 GDP -0.2%, 경제현장 아우성인데 정부는 안 보여

한 대행, 출마할 거면 당장 그만두고 국민심판 받으라

▲ 한국일보 = 검찰, 문 전 대통령 기소… 3년 수사 끌다 하필 이 시기에

사법권 독립 위협하는 '판사 공격'… 법원이 적극 대응을

얼어붙은 내수가 부른 역성장, 앞으로 더 문제다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1분기 성장률 -0.2% '충격', 결국 'R의 터널' 들어섰다

님비(NIMBY) 감싸는 지자체들 각성해야

▲ 디지털타임스 = 대놓고 국내서 '간첩질' 中… 巨野, 왜 간첩법 개정 미적대나

성장 멈춘 韓 경제… '동력 대책' 죄다 끌어모아 즉각 실행하라

▲ 매일경제 = 1분기 0.2% 역성장 쇼크… 정치가 발목잡은거 아닌가

韓대행 "AI 국가대표팀 선발"… 누가 집권해도 해야할 일

文 전 대통령 늑장기소한 檢, 이유가 뭔가

▲ 브릿지경제 = 3년차 고향사랑기부제, 본고장에서 '한 수' 배우길

▲ 서울경제 = 1분기 역성장 충격, 정치 복원하고 신산업 육성 총력전 펴라

文정부 의혹들, 엄정하고 공정한 수사·재판으로 재발 막아야

李 "에너지고속도로 건설"…선거용 구호 벗어나 원전 정책 밝혀라

▲ 이데일리 = 거꾸로 간 성장률, 고통 각오하고 경제 체질 바꿔야

출생 11년 만에 반등… 추세 굳힐 대책에 힘모을 때다

▲ 이투데이 = 이번엔 SKT 해킹 사태, 소 잃고 외양간도 못 고치나

▲ 전자신문 = SK하이닉스, 희망을 쐈다

▲ 파이낸셜뉴스 = 기업 발목 잡는 규제 풀기 왜 그리 어려운가

역성장 늪 빠졌는데 추경 놓고 하세월인 정치권

▲ 한국경제 = 오죽하면 공무원이 "실업급여 총체적 난국"이라 하겠나

AI 강국 꿈꾸는 나라의 전력 포퓰리즘

'관세 폭탄' 투하 전인데 역성장 … 외환위기급 폭풍 온다

▲ 경북신문 = 의료계도 변해야… 의료 개혁 1년 만에 폐기?

▲ 경북일보 = 산불 피해 경북에 '고향사랑 기부' 불길

▲ 대경일보 = 경북 산불 피해, 관광으로 극복할 때

하버드대학의 규제와 압박받는 민주주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