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과원, 대학·의료기관 등과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 협약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은 22일 수원 광교바이오센터에서 분당서울대병원, 성균관대, 한국바이오협회 등과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경과원은 실습장비(21종 32대)를 구비한 GG바이오허브 에듀스테이션 내에 교육장을 제공하고, 나머지 기관은 바이오 인력 양성 과정을 운영하게 된다.

 이종석 경과원 바이오산업본부장은 "도내 유수의 교육·의료기관 등과 협력해 현장 중심 실무 교육으로 바이오 전문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라며 "성공적인 교육 과정 운영을 위해 협약 기관과 협력 체계를 더 공고히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장익상 선임기자(iksang.jang@gmail.com)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주치의 없는 대한민국
스트레스의 원인은 너무도 다양하다. 신체적 질병 때문일 수도 있지만 현대인은 실제로 신체적 피로보다는 정신적인 피로에 더 많이 시달린다. 소음이나 이웃과의 갈등 같은 주변 환경 요인이 있을 수도 있다. 부모나 자녀와의 불화, 상사로부터의 영업 실적 압박,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 가까운 사람의 사소한 말 한마디도 모두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나열하자면 끝도 없다. 중요한 것은 이런 스트레스를 어떻게 잘 다스리느냐는 것이다. 우선 스트레스를 받아들이는 마음가짐, 즉 스트레스 감수성에 대해 살펴봐야 한다. 사실 스트레스 감수성 자체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성향이나 체질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는 듯하다. 사상체질의학에서도 스트레스 감수성에 관해 이야기하는데, 소음인은 스트레스를 심하게 느끼고 태음인은 스트레스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한다. 일반적인 것은 아니지만 동양에서는 혈액형에 따른 차이가 있다는 생각도 적지 않다. 예를 들어 A형은 스트레스를 아주 심하게 느끼지만, B형은 스트레스를 덜 느낀다는 식이다. 흥미로운 것은 체중과 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주장이다.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지방세포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 가운데 하나가 사람을 느긋한 성격으로 만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