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7일 조간)

▲ 경향신문 = 이번엔 '당헌 80조 삭제' 추진, 민주당 퇴행이 심하다

성난 여론에 갈팡질팡 주 69시간제, 졸속 행정 책임 물어야

일 '과거 반성' 호응 없는 정상회담, 윤 대통령 방일 왜 했나

▲ 국민일보 = SVB에 이은 유럽 금융불안…우리도 철저히 대비하라

'주 69시간' 보완 착수한 정부, 노동계 우려에 귀 기울여야

12년 만의 한·일 정상회담, 새 출발 선언했지만 갈 길 멀다

▲ 서울신문 = 고조되는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철저히 대비를

한미, 압도적 대응태세로 북 도발 의지 꺾어야

새로운 한일 협력의 시대 시동 건 尹·기시다 회담

▲ 세계일보 = 北지령 받아 괴담 유포하고 반정부 투쟁 벌인 간첩단 실체

한·일 정상 만나는 날 ICBM 쏜 北…안보 협력 강화만 부를 뿐

尹·기시다 정상회담, 한·일 협력의 새 시대 첫걸음 뗐다

▲ 아시아투데이 = 李·한노총의 노동개혁 저지, 경제회생에 역행

300조 투자, '기업하기 좋게'해서 성공시키자

▲ 조선일보 = 미·유럽 잇단 은행 위기, 우리도 '충당금 방파제' 미리 더 쌓아야

근로 시간 개편, 일정 기간 시험 실시로 효과와 부작용 점검해보길

韓 대통령 12년 만의 방일과 日의 유보적 태도

▲ 중앙일보 = 주 52시간제 둘러싼 정책 혼선 걱정된다

미래로 함께 나아갈 출발점 된 한·일 정상회담

▲ 한겨레 = 손자 폭로로 다시 주목되는 '전두환 비자금'

'주 60시간 상한 캡'은 또 무슨 근거로 계산한 건가

사과 안한 일본에 '구상권 청구 없다' 약속한 윤 대통령

▲ 한국일보 = 번져가는 은행 불신…나비효과 대비 탄탄하게

정상회담 겨냥해 ICBM 쏜 북한, 오판하지 말라

한일 '공동번영 새출발' 선언…징용 호응 조치는 없어

▲ 디지털타임스 = 한일 '셔틀 외교' 복원…과거 그늘 벗어나 새미래 열어야

'주60시간 캡'까지 제기된 근로시간제, 취지 퇴색은 안 된다

▲ 매일경제 = 주 60시간이든 69시간이든 근로시간 유연화가 핵심이다

한일정상 셔틀외교 12년만에 복원, 미래로 가자

▲ 브릿지경제 = 유럽도 보조금제 개편, '한국판 IRA' 내놓아야 하나

▲ 서울경제 = SVB 이어 CS까지…'금융 리스크 전이' 신속 대응책 세워라

北 ICBM 발사, 한일 안보·경제 전방위 협력 필요성 더 커졌다

"노동시장 자유 낙제 수준"…유연성 제고가 해법이다

▲ 이데일리 = 스텝 꼬인 근로시간제…국민 설득과 홍보가 먼저다

반도체 패권 걸린 삼성 300조 투자, 국가 총력지원해야

▲ 이투데이 = 가덕도 신공항, 속도보다 안전이다

▲ 전자신문 = 송출수수료 갈등 이젠 마무리하자

한일 경협, 성과 확실히 해야

▲ 한국경제 = 한·일 정상회담, 관계 정상화 첫걸음 무난하게 뗐다

이번엔 CS 위기설…불똥 안 튀게 선제 대응 서둘러야

근로시간 개편안 되물리기, 노동개혁 후퇴 아니고 뭔가

▲ 대한경제 = 근로시간 개편, 노동계 우려 보완하되 개선 취지는 살려야

K칩스법 위해 머리 맞댄 여야…민생법안 처리에 속도내라

▲ 파이낸셜뉴스 = 한일 정상 도쿄서 회담, 양국 관계회복에 속도 내야

유럽 은행도 휘청, 유사시 대응력 깐깐히 살피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