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혈 부작용 위험 없는 항응고제 개발

 출혈 부작용 위험이 없는 새로운 항응고제가 개발됐다.

 항응고제는 혈액의 응고 능력을 감소시켜 혈관의 혈전 형성을 방지하는 약물이다. 출혈이 발생하면 우리 몸은 혈액을 응고해 이를 막는다. 항응고제는 이러한 혈액 응고 기능을 억제하기 때문에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항응고제(헤파린, 와파린 등)들은 대부분 출혈 부작용 위험이 있기 때문에 신중히 용량을 조절하고 경과를 예의 관찰해야 한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과 미국 미시간 대학의 공동 연구팀이 출혈 위험 없이 혈액 응고를 막는 신물질 MPI-8을 개발했다고 UPI 통신이 최근 보도했다.

 이 새로운 항응고제는 생쥐 실험에서 기존의 항응고제들보다 더 안전하고 효과가 크면서 출혈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그는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그는 덧붙였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과 미식간 대학은 이 새로운 기술에 대해 특허를 출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과학 전문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만·당뇨 동시 치료 혁신 신약 '마운자로', 상반기 국내 출시 '난망'
비만과 당뇨를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일라이릴리의 혁신 신약 '마운자로'가 상반기 중 국내에 출시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1회 용량 바이알과 퀵펜 제형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는 데 시간이 걸리면서 11개월전 허가받은 프리필드펜(Prefilled Pen·약물 사전 충전 주사제) 제형 출시까지 지연되자 당뇨병 환자들이 실망감을 내비치고 있다. 2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일라이릴리는 작년 식약처에 마운자로 바이알과 퀵펜 제형의 국내 시판 승인을 신청했지만, 아직 승인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알은 병에 들어 있는 약물을 주사기로 추출해서 투약하는 형태이며, 퀵펜(Kwik Pen)은 한 달 동안 주 1회씩 총 4회 투여하는 용량이 하나의 펜에 들어 있는 형태다. 일라이릴리는 마운자로 프리필드펜이 작년 7월 당뇨·비만 치료제로 국내 시판 허가를 받았지만 국내 환자를 위한 물량 확보가 충분하게 이뤄지지 않자 바이알, 퀵펜 제형을 포함한 3가지 제형을 함께 출시해 수요를 맞출 방침이었다. 업계에서는 국내에도 이르면 5월, 늦어도 6월 출시돼 삭센다, 위고비와 3파전이 벌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바이알과 퀵펜에 대한 허가가 늦어지면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