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보국 일념' 이종호 JW그룹 명예회장 별세

 

 이종호 JW그룹 명예회장이 30일 오전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0세.

 JW그룹에 따르면 이 명예회장은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하던 중 전날 병세가 급격히 악화해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영면에 들었다.

 고인은 1945년 조선중외제약소(JW중외제약 전신)를 창립한 이기석 창업주의 차남으로 경기도 김포에서 태어났다. 서울고등학교와 동국대 법학과를 거쳐 고려대 경영대학원을 수료한 그는 1966년부터 회사 경영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

리지노마이신

 이 회장은 1969년 국내 최초이자 세계 두 번째 합성 항생제인 '리지노마이신' 개발을 이끌었다.   리지노마이신은 1973년 영국 약전에 수록되기도 하며 경영 위기로 어렵던 회사를 일으켰다.

 이후 1960년대 후반부터는 머크, 애보트 등 유럽과 미국의 주요 제약사와 기술 제휴를 맺으며 전문의약품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했다.

 이 회장은 이윤이 별로 남지 않는 수액 사업에 지속해 투자하며 2019년 종합영양수액 '위너프' 완제품을 아시아권 제약사 최초로 유럽에 수출하는 기반을 닦았다.

대한중외제약 사장으로 취임한 이종호 전무

1975년 중외제약 사장으로 취임한 이 회장은 신약 개발의 중요성을 항상 강조했다. 그러면서 1992년에는 국내 최초의 합작 바이오벤처 C&C신약연구소를 일본 주가이제약과 설립했고 2000년에는 미국 시애틀에 JW세리악이라는 연구소를 구축했다.

일본 주가이제약과 C&C신약연구소를 설립한 이종호 회장

공익사업에도 열성적이었다. 그는 2011년 사재 200억 원을 출연해 공익재단인 중외학술복지재단을 설립했다. 이 재단은 보건의료 분야 학술연구와 소외계층 지원을 위해 설립된 공익 법인으로, 현재까지 지역사회 대상 봉사활동과 기초과학자 주거비 지원 사업 등을 진행 중이다.

국내 최초로 기업 주최 장애인 미술 공모전인 JW아트어워드를 제정해 장애 예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에도 앞장섰다.

장애인합창단 '영혼의 소리로' 단원들과 이종호 회장

장례는 JW그룹 회사장으로 치러진다.

유족으론 아내 홍임선씨와 3남1녀(이경하·이동하·이정하·이진하) 등이 있다. 빈소는 연세대 신촌 장례식장 특1호실이고 발인은 3일 오전 7시다. ☎ 02-2227-7550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신생아에 치명적인 장 천공 조기에 찾는 AI 모델 개발"
인공지능(AI) 기술로 엑스레이(X-ray) 영상을 분석해 신생아의 장 천공 여부를 판별하는 모델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영상의학과 윤희망·융합의학과 김남국·신생아과 이병섭 교수팀은 최근 AI로 신생아의 장 천공 여부를 판단하는 판독 모델을 개발했다. 신생아 장 천공은 괴사성 장염 등으로 장에 구멍이 생겨 생명까지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그러나 신생아 중환자실 특성상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즉시 판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오진이나 진단 지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컸다. 또 천공 진단을 위해 엑스레이 검사로 복강 내 공기가 차 있는지 확인하는데, 통상 영상에서 장 천공 여부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정확한 판독이 쉽지 않았다. 기존에 AI 판독 모델이 있었으나 이는 성인 데이터를 기준으로 개발됐기 때문에 신생아에게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도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신생아 엑스레이 영상을 이용해 장 천공 여부를 분류하면서 복강 내 공기가 차 있는 영역까지 함께 학습해서 표시해 주는 학습 모델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1995년 1월∼2018년 8월 서울아산병원 소아 엑스레이 영상 약 260만건을 수집했고, 최종적으로 장 천공 영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