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영상의학회, 유방암 검사 새 지침 발표

 미국 영상의학 학회(ACR·American College of Radiology)는 모든 여성에게 25세에 유방암 위험 평 가를 받도록 권고하는 새 유방암 검사 지침을 발표했다.

 이 새 지침은 이러한 조기 유방암 위험 평가 결과에 따라 지금처럼 40세부터 유방 X선 검사를 시작할 것인지 아니면 40세 이전에 더 일찍 시작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8일 보도했다.

 이 지침은 ▲유방암 위험을 높이는 변이유전자(BRCA1)를 가졌거나 ▲젊은 나이에 흉부가 방사선에 노출된 일이 있거나 ▲가족력 등으로 평생 유방암 위험이 20% 이상인 여성은 25~30세 사이에 유방 MRI 검사를 받도록 했다.

 이 여성들은 평가된 위험도에 따라 25~40세부터 유방 X선 검사를 매년 받게 된다.

 유방 MRI 검사가 어려운 경우에는 '조영제 강화 유방 조영술'(CEM: contrast-enhanced mammography)로 대신할 수 있다.

 유방암 위험이 평균 수준인 여성은 지금처럼 40세부터 유방 X선 검사를 받으면 된다.

 이에 대해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유방 영상실장 데브라 몬티첼로 박사는 최근 나타나고 있는 과학적 증거들은 유방암 검사를 일찍 시작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논평했다.

 그 대상으로 특히 흑인과 소수 민족 여성을 그는 지목했다.

 소수 민족 여성은 백인 여성보다 유방암 위험이 72%, 진행성 유방암으로 진단될 위험이 58%, 유방암으로 사망할 위험이 127%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이 새로운 지침은 미국 영상의학회 저널(Journal of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