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길 거닐며 느끼는 역사…"조선왕릉 9곳 숲길 함께 걸어요"

 녹음이 우거지고 곳곳에 들꽃이 핀 조선왕릉 9곳의 숲길이 개방된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이달 16일부터 경기 구리 동구릉, 남양주 광릉, 남양주 사릉 등 총 9곳의 왕릉 숲길을 한시적으로 개방한다고 10일 밝혔다.

 서울에서는 태릉과 강릉 두 능을 잇는 1.8㎞ 길과 의릉 천장산부터 역사 경관림 복원지까지의 970m 구간 숲길을 걸으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다.

 경기 동부에서는 구리 동구릉, 남양주 광릉, 남양주 사릉 숲길이 열린다.

 경기 서부에서는 파주 장릉, 화성 융릉과 건릉, 파주 삼릉 숲길이 개방된다.

 여주에서는 세종(재위 1418∼1450)을 모신 영릉(英陵)과 효종(재위 1649∼1659)의 무덤인 영릉(寧陵)을 잇는 외곽 숲길 3.4㎞ 구간을 걸어볼 수 있다.

 이번에 개방되는 조선왕릉 숲길의 총길이는 19.52㎞로, 6월 말까지 문을 열 예정이다.

 이 중 서울 의릉, 파주 장릉, 파주 삼릉, 화성 융릉과 건릉 등 4곳의 숲길은 11월까지 개방할 예정이다.

 숲길 개방 시간은 해당 조선왕릉의 관람 시간과 같다.

 방문객은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궁능유적본부 누리집(royal.ch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