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53%만 의료기관서 근무…"매년 1만명씩 병원 떠나"

간호협 "간호사 증가율 OECD 평균 4배지만 임상 간호사 비율 낮아"

 해마다 많은 간호사가 병원을 떠나면서 전체 간호사 면허 소지자 중 절반 정도만이 의료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대한간호협회가 16일 밝혔다.

 간호협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통계'와 보건복지부의 보건의료인력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전체 간호사 면허 소지자 48만1천211명 중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임상 간호사는 25만4천227명이었다고 전했다.

 전체 간호사 중 52.8% 수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68.2%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간호협회는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간호사 신규 면허자는 매년 2만 명 이상 배출되고 있다. 간호인력이 연평균 5.1% 증가하는 것으로, OECD 국가 평균인 1.2%와 비교해 4배 이상 높다.

 협회에 따르면 2019∼2022년 국시에 합격한 간호사 신규 면허자 수는 총 10만7천227명인 데 반해 같은 기간 순증한 임상 간호사 수는 5만8천913명이었다. 간호사 증가분의 절반 정도만이 의료기관 간호사 증가로 이어지는 것이다.

 간호협회는 "국시 합격한 간호사들이 대부분 의료기관에서 처음 근무를 시작하는 것을 고려할 때, 매년 1만 명 가까운 간호사가 병원을 떠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간호사 사직률은 2020년 19.7%에 달했다고 협회는 전했다.

 의료기관 종별로 보면 요양병원 간호사의 사직률이 35.0%로 가장 높고, 병원 27.3%, 기타 27.1%, 의원 24.5%, 보건소 및 보건기관 22.1% 등의 순이었다.

 특히 신규 간호사의 경우 2017년 38.1%였던 1년 이내 사직률이 2021년 52.8%로 14.7%포인트나 늘었다고 협회는 설명했다.

 간호협회는 간호사가 병원을 떠나는 이유가 본래 업무 범위 이상의 과도한 일과 과중한 업무량, 열악한 근무환경, 업무 부적응 등이라고 분석했다.

 협회 관계자는 "만성적 간호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규 배출 인력만 늘릴 게 아니라 먼저 간호사들이 병원 현장을 떠나는 이유를 해결해야 한다"며 아울러 "간호법을 제정해 간호인력에 대한 근무환경 개선과 배치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