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V 백신 접종 연령 9~14세, 최소 간격 5개월로 통일"

질병청, 예방접종 지침서 개정…25종 감염병 예방·치료 정보

 질병관리청은 감염병 예방접종과 치료를 담당하는 의료인에게 배포하는 '예방접종의 실시기준과 방법' 지침서를 6년 만에 개정해 배포한다고 26일 밝혔다.

 개정판은 예방접종의 원리 및 일반원칙과 함께 코로나19 등 예방접종 대상 25종 감염병에 대한 최신 역학·진단·치료 정보와 예방접종 실시기준을 담고 있다.

 새 지침은 자궁경부암의 주원인인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증 예방을 위해 HPV2, HPV4, HPV9 등 백신에 대한 접종 기준을 종류에 상관없이 첫 접종 연령 9~14세, 접종 횟수 2회로 통일하라고 권고했다. 또한 1차 접종 후 6~12개월 사이에 2차 접종을 하되, 사정에 따라 1차와 2차 접종 간격을 5개월로 줄일 수 있도록 했다.

 개정 전에는 백신 종류에 따라 첫 접종 연령과 접종 일정, 최소 접종 간격 기준이 달랐다.

 이번 지침은 국내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과 백신 분야 전문가들이 2021년 2월부터 참여한 정책연구를 통해 마련됐고, 관련 학회와 전문가 자문회의 검토를 거쳐 지난 4월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에서 확정됐다.

 지침은 다음 달 중 보건소 등 예방접종을 시행하는 의료기관과 관련 학·협회, 의과대학 도서관 등 전국 2만7천820곳에 배포된다. 이날부터 질병청(http://www.kdca.go.kr)과 예방접종도우미(http://nip.kdca.go.kr) 누리집에서도 내려받을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