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취해소제, 젊은 층이 더 많이 찾는다…해장음식은 국물이 인기

 숙취해소제는 젊은 층에서 더 많이 찾는 것으로 조사됐다.

 롯데멤버스는 성인 남녀 2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조사 결과 엔데믹 이후 10명 중 4명 이상(43.9%)은 술을 주 1회 미만으로 가볍게 마신다고 답했다.

 술을 마신 뒤 숙취해소제를 주로 먹는 편이라는 응답은 20대에서 16.0%로 가장 많았고, 50대 이상에서 5.3%로 가장 적었다.

 30대는 15.0%, 40대는 14.3%가 음주 후 숙취해소제를 주로 먹는다고 답했다.

 반대로 거의 먹지 않는다는 답변은 50대 이상에서 41.3%로 가장 많았고 20대에서 24.0%로 가장 적었다.

 숙취해소제를 한 번도 복용한 적이 없다는 답변 역시 50대 이상에서 15.0%로 가장 높았다.

 연령대별로 선호하는 숙취해소제 종류도 달랐다.

 액상 제품의 경우 연령대가 높을수록 선호했고, 환이나 젤리로 된 숙취해소제는 젊은 층이 더 많 이 찾았다.

 해장 음식은 콩나물국이나 라면 같은 국물류가 역시 인기였고, 젊은 층일수록 햄버거나 아이스크림 등으로 해장한다는 답변도 많았다.

 따로 해장하지 않는다는 답변도 19.4%였는데 와인(29.5%)이나 혼합주(28.2%), 맥주(25.3%)를 마신 경우 해장을 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더 높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4일까지 롯데멤버스의 리서치 플랫폼 '라임'을 통해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19%포인트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허리 'S라인' 지켜주세요…심한 복부비만, 불량한 자세 원인
균형 잡힌 아름다운 몸매를 보통 'S라인' 같다고 표현하죠. 이런 몸매를 갖고 있지 않더라도 우리 몸의 척추는 S라인을 꼭 유지해야 한다는데요. 이유가 뭘까요? 목에서 꼬리뼈까지 이어지는 척추는 각각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면서 스프링처럼 외부 충격을 흡수합니다. 하지만 척추에 문제가 생기면 S자 모양이 뻣뻣한 일(一)자로 변하거나 비정상적으로 구부러지기도 하는데요. 척추가 앞으로 굽으면 '전만증', 뒤로 굽으면 '후만증', 일자로 뻣뻣해지면 '일자 허리 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각각 다른데요. 전만증은 몸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는 상태를 지속할 때 생깁니다. 심한 복부비만이나 임신, 불량한 자세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면 균형을 잡기 위해 상체를 뒤로 젖히게 되고, 허리뼈가 앞으로 과도하게 쏠리기 때문이죠. 이때 엉덩이는 반대 방향으로 튀어나와 '오리 궁둥이'처럼 됩니다. 후만증은 선천적 척추 이상이나 노화, 쪼그려 앉아 일하는 생활 습관 등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데요. 함대웅 중앙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고령자의 경우 골다공증이 진행되면 척추뼈가 약해져서 작은 충격에도 쉽게 골절이 일어날 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