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FDA, 노인 실명 1위 '황반변성' 말기 두 번째 치료제 승인

  노인 실명 1위의 안과 질환인 노인성 황반변성(AMD) 말기에 망막에 나타나는 지도 모양 위축(GA: geographic atrophy)의 두 번째 치료제가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승인을 받았다.

 FDA는 지난 2월20일 미국 아펠리스(Apellis) 제약회사가 개발한 페그세타코플란(pegcetacoplan)을 최초의 지도 모양 위축 치료제로 승인한 데 이어 아이베릭 바이오(Iveric Bio) 제악회사가 개발한 아바신카프타드 페골(제품명:이제르바이)을 두 번째 지도 모양 위축 치료제로 승인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AMD는 망막의 중심부에 있는 시신경 조직인 황반에 노폐물(드루젠)이 쌓이거나 비정상적인 신생 혈관이 자라면서 황반이 손상돼 시야의 중심부를 보는 시력인 중심시(central vision)를 잃는 질환이다.

 망막의 지도 모양 위축은 황반의 중심부가 손상되면서 망막세포가 사멸하는 현상으로 AMD 말기에 나타난다.

 미국에서는 약 150만 명이 지도 모양 위축을 겪고 있다. 지도 모양 위축이 나타나면 운전과 책 읽기가 어렵고 가족과 친구들의 얼굴을 잘 알아보지 못한다.

 부작용은 결막 출혈(13%), 안압 상승(9%), 흐린 시야(8%, blurred vision), 신생혈관성 황반변성(7%)이었다.

 이제르바이는 2~4주 후 출시될 것이라고 아이베릭 바이오 사는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환자 60% '처방약 부작용 관련 약사 설명 부족'"
환자에게 처방약 부작용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는 약사가 부족하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손현순 차의과학대학교 약대 교수 연구팀은 한국임상약학회지 최신호에 게재한 논문에서 이 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 신분으로 최근 1년간 병원 처방전을 가지고 약국에서 처방약을 지어본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성인 189명을 대상으로 약사의 처방약 관련 부작용 설명이 충분했는지 여부 등을 온라인 설문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약사의 처방 조제약 부작용 설명이 충분했냐는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고 답한 비율이 59.7%로 '그렇다'고 답한 비율(40.2%)보다 높았다. '그렇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도 19%였다. 이는 약사의 부작용 설명 수준이 국민 기대치에 부합하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실제 이번 설문 응답자 가운데 98.9%는 약사가 처방 조제약의 부작용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냐는 질문에 '중요하다'고 답했다. 연구팀은 약사가 부작용 안내에 대한 환자 측 기대를 반영하고 약물 관련 문제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복약지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노인 환자의 경우 난독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