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선성 관절염 위험 예측 모델 개발"

 건선 환자에게 건선성 관절염이 나타날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 개발됐다.

 건선은 면역체계의 공격으로 촉발된 염증으로 피부가 손상되면서 가렵고 거친 붉은 반점들이 피부를 뒤덮는 자가 면역성 피부질환이다.

 건선성 관절염은 건선 환자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인대, 건, 근막, 척추, 말초 관절의 자가 면역성 질환으로 피부 또는 손발톱의 건선이 동반된 염증성 관절염이다.

 캐나다 토론토 대학 의대 류마티스 질환 예후 연구센터의 리히 에데르 교수 연구팀은 건선성 관절염이 없는 건선 환자 635명을 대상으로 5년에 걸쳐 진행한 연구를 통해 건선성 관절염 위험 예측 모델(PRESTO)을 개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1년 후 건선성 관절염이 나타날 위험은 젊은 연령대, 남성, 건선 가족력, 허리 경직, 손톱 함몰, 관절 경직, 생물학적 제제 사용, 통증 강도, 환자의 전체적인 건강 상태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5년 후 건선성 관절염이 나타날 위험은 조조강직(morning stiffness), 손톱 건선, 건선의 중증도, 피로, 통증, 비생물학적 전신 치료제 사용, 광선 치료와 연관이 있었다.

 건선 치료를 일찍 시작한 환자가 건선성 관졀염 위험이 낮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 예측 모델과 관찰된 확률(실제값) 사이의 합치율은 상당히 높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예측 모델은 건선 환자의 건선성 관절염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수 있는 교육용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전망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류마티스 학회 학술지 '관절염과 류마티스학'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엠폭스 국제 보건비상사태 선포에 질병청 "검역·감시 강화"
세계보건기구(WHO)가 엠폭스에 대해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PHEIC)을 다시 선포하자 우리 방역당국도 검역과 발생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6일 의료계와 학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엠폭스 위험평가 회의를 열고 엠폭스 국내 유입 가능성과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WHO는 최근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엠폭스가 다시 급증하고,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상황을 고려해 지난 14일(현지시간) 엠폭스에 대해 PHEIC을 선언했다. 지난해 5월 PHEIC을 해제한 지 1년 3개월 만이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와 전문가들은 국내 엠폭스 상황이 현재 방역체계에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하고, 지난 5월 해제한 엠폭스 위기경보의 재발령 없이 검역과 국내 감시를 강화해 대응하기로 했다. 주요 국가 직항편 게이트에서 검역을 실시하고 역학조사관과 공중보건의를 현장 배치한다. 또 홍보를 늘려 유증상자의 신고를 유도하고 이들이 신속하게 진단받도록 할 방침이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9일까지 국내에선 총 10명의 엠폭스 확진자가 나왔다. 지난해 151명과 비교하면 크게 줄었다. 올해 환자들은 모두 20∼40대 남성으로 국내 감염이 9명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