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새 두 배"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고성장…"고령화 등 영향"

 인구 고령화 등에 따라 전립선비대증 환자가 늘면서 국내 관련 치료제 시장이 2026년 약 2천억원 규모로 성장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김근환 책임연구원은 KISTI가 발행하는 'ASTI 마켓 인사이트' 최근호에서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 미국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 등 추산을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이에 따르면 주요 전립선비대증 치료 성분인 '탐스로신'을 기반으로 한 국내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18년 약 1천억원에서 2026년에는 약 2천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8년 사이 2배 가까이 성장한다는 이야기다.

 전립선비대증은 남성 생식기관인 전립선의 크기가 비대해지면서 요도를 막아 소변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발병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내분비 기능이 저하되는 고령층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노화 및 남성 호르몬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고 김 연구원은 설명했다.

 실제 대한비뇨의학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전립선비대증 유병률은 50대 이상 50%, 60대 이상 60%, 70대 이상 70%, 80대 이상 80% 수준으로 추산됐다.

 김 연구원은 "인구 고령화에 따라 (전립선비대증) 유병률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며 "이는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수요를 증가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에서는 한미약품의 한미탐스캡슐, 한국아스텔라스의 하루날디정, 제뉴원사이언스의 타미날캡슐, 셀트리온제약의 탐솔캡슐, 경동제약의 유로날서방정 등이 주요 전립선비대증 치료제다. 이들 치료제 모두 탐스로신이 주요 성분이다.

 탐스로신을 활용한 복합제 개발도 주목된다.

 한미약품은 지난 2016년 탐스로신과 발기부전 치료 성분 '타다라필'을 하나로 합한 구구탐스캡 슐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시판 허가를 받았다.

 다만 종근당, 일동제약, 영진약품 등은 시장성 등을 고려해 관련 복합제 개발을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연구원은 "중장년 남성의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이들의 비뇨기과 방문율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내 제약기업은 탐스로신 기반의 복합제 개발을 통해 지속 성장하고 있는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시장에서 차별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모기 매개 감염' 치쿤구니야열 14개국서 22만명…국내 유입 1명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를 매개로 감염되는 질환인 치쿤구니야열이 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아직 국내 유입 사례는 미미한 정도지만 해외 유행 지역을 방문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질병관리청은 28일 임승관 청장 주재로 회의를 열고 치쿤구니야열 유행 상황과 대응 체계를 점검했다고 29일 밝혔다. 치쿤구니야열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집트숲모기 또는 흰줄숲모기에게 물렸을 때 감염되는 제3급 법정 감염병이다. 사람 간에는 전파되지 않는다. 다만 드물게는 감염된 혈액 수혈, 모자간 수직 감염, 실험실 노출 등으로 전파되기도 한다. 보통 1∼12일의 잠복기 후 발열, 관절통, 발진, 근육통 등의 증상을 보인다.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눈, 심장 등과 관련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기저질환이 있는 고령층은 주의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2013년 첫 환자가 확인된 이후 지난 25일까지 12년여간 총 71명이 신고됐는데 모두 해외에서 감염된 후 입국한 사례였다. 이 가운데 올해 들어 신고된 국내 치쿤구니야열 환자는 아직 1명뿐이다. 이집트숲모기는 국내에 서식하지 않고, 흰줄숲모기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 서식하고는 있으나 지금까지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