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이 28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사무실을 방문해 안기종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731/art_17536988637749_14219e.jpg?iqs=0.771102611497791)
전공의들이 28일 환자단체를 찾아 장기간 이어진 의정 갈등으로 불편과 불안을 겪은 국민에게 사과했다.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사무실에서 환자단체 대표들과 만나 "1년 5개월 이상 길어진 의정갈등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불안하셨을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 사태가 장기화한 데 대해 의료계 또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아울러 의료계를 대표하고 이끄는 위치에 있었던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도 대한민국의 일원인 젊은 의사로서 깊이 사과드린다"며 "저희는 앞으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적인 책무를 다하고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긴 세월 국민과 의료계 모두 상처받고 힘든 시간을 보냈다"며 "이런 일이 다시 생기지 말아야 한다는 점에는 공감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뢰를 바탕으로 미래 의료를 함께 재건하자고 했다.
한 위원장은 "전 정권에서 경험했듯 온갖 불법적인 명령과 과도한 규제와 억압으로는 아무것도 해결할 수 없다"며 "중증의료의 재건(필요성)과 지역 의료 불균형에 대해 저희 젊은 의사도 공감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건 회복된 신뢰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미래 의료를 재건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의 자리도 이를 위한 하나의 중요한 발판이 되리라고 생각한다"며 "환자와 의사 간의 유대를 다시 회복하는 전환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환자단체는 의정 갈등과 의료 공백의 '진짜 피해자'는 환자라며 이 사태가 되풀이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는 "정부와 여당은 의료 공백의 책임자인 전공의 복귀에만 집중하고 환자의 피해 구제와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나 입법 개선에는 관심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전공의들에게 "다시는 환자의 생명을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해달라"며 "조건 없는 자발적 복귀를 통해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날 만남은 모두발언 이후 비공개로 전환해 총 1시간 10분가량 이뤄졌다. 대전협과 환자단체는 서로의 상황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얘기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대전협은 이 자리에서 지난 정권의 행정명령 등 압박이 심해지면서 공개적으로 사과나 유감을 표명하기 어려웠다고 설명하고, 복귀를 앞두고 일각에서 언급하는 '특혜'도 요구한 적 없다고 강조했다.
정정일 대전협 비대위 대변인은 "일부에서 단축 수련이나 입영 연기, 전문의 추가 시험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는 건 알고 있다"면서도 "저희는 수련의 질 향상을 주장하는 입장이므로 그런 걸 요구하기는 적절치 않다고 생각하며, 이 부분을 환자단체에도 말씀드렸다"고 말했다.
그는 "양질의 수련을 원한다면서 단축 수련을 한다는 건 모순적이므로 그런 부분은 저희의 공식 입장이 아니다"라고 강조한 뒤 "이런 사태가 다시는 재발하지 않아야 하는 데도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덧붙였다.
안 대표는 "의정갈등과 의료공백의 당사자인 환자와 전공의들이 만났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정기적으로 만나 환자의 권리, 전공의들의 수련 환경 등에 소통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다만 복귀를 위한 조건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았으며, 이르면 내달 또는 오는 9월께 현안 등을 논의하는 자리를 만드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
전공의들과 환자 단체가 만난 건 지난해 2월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이후 1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번 만남은 한 위원장이 국회 앞에서 의료공백 재발 방지 대책을 만들어달라고 시위 중인 안 대표를 찾아와 환자단체의 의견을 듣고 전공의들의 입장도 전달하고 싶다는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