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노인성 질환 지표 '글루타민', 혈당 측정처럼 쉽게 잰다

KIST 서문형·박근환 책임연구원팀, '글루타민 실시간 측정' 단백질 센서 개발

 

 암, 당뇨, 치매 등 중증 노인성 질환의 지표 단백질인 글루타민을 혈당 측정과 같이 쉽고 간편하게 잴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천연물소재연구센터 서문형 책임연구원 연구팀과 천연물인포매틱스연구센터 박근완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함께 복잡한 측정과 고가 분석 장비 없이도 글루타민 농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잴 수 있는 단백질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글루타민은 혈액 내 단백질 합성이나 세포 에너지원으로 쓰이는 아미노산이다. 특히 암이나 당뇨, 퇴행성 뇌 질환 등 중증 노인성 질환에서 세포나 혈액 속 글루타민 농도 변화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이들 질환을 진단하는 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생체 샘플 속 글루타민 농도 측정은 질량분석기나 아미노산 분석기 등 고가 분석 장비가 필요해 실제 진단에 활용하기는 어려웠다. 간편 측정 기술들도 샘플 속 단백질을 제거해야 하는 등 복잡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해 측정에 오래 걸리고 정확도도 떨어졌다.

 이 단백질이 글루타민에 달라붙으면 빛을 내고, 이 빛의 세기를 측정하면 농도를 알아낼 수 있는 것으로, 연구팀은 글루타민 기호 Q와 빛을 낸다는 뜻을 결합해 'Q-SHINE' 센서로 이름 붙였다.

 이를 통해 측정할 수 있는 글루타민의 최저 농도는 1마이크로몰(μM, 1몰의 100만분의 1)로, 연구에서 많이 쓰이는 효소반응 분석법보다 20배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센서 단백질은 대장균을 활용해 쉽게 생산할 수 있어 연구용 키트로도 값비싼 분석 장비와 비슷한 수준으로 글루타민 농도 분석이 가능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센서를 이용해 살아있는 세포와 세포질, 미토콘드리아 내 글루타민 농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데도 성공했다.

 특히 암세포와 정상세포에서 글루타민 농도 차이를 검증해, 글루타민 대사 억제를 통한 항암제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했다.

 서 책임연구원은 "당뇨환자의 자가 혈당 측정 방식과 같이 손쉬운 글루타민 농도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해줄 것"이라며 "글루타민 대사 연구에 활용하게 되면 암, 당뇨, 치매와 같은 중증 노인성 질환의 조기진단과 원인 규명, 나아가 글루타민 대사를 조절하는 암 치료제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센서스 앤 액추에이터스 B: 화학' 최신 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엠폭스 국제 보건비상사태 선포에 질병청 "검역·감시 강화"
세계보건기구(WHO)가 엠폭스에 대해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PHEIC)을 다시 선포하자 우리 방역당국도 검역과 발생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6일 의료계와 학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엠폭스 위험평가 회의를 열고 엠폭스 국내 유입 가능성과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WHO는 최근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엠폭스가 다시 급증하고,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상황을 고려해 지난 14일(현지시간) 엠폭스에 대해 PHEIC을 선언했다. 지난해 5월 PHEIC을 해제한 지 1년 3개월 만이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와 전문가들은 국내 엠폭스 상황이 현재 방역체계에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하고, 지난 5월 해제한 엠폭스 위기경보의 재발령 없이 검역과 국내 감시를 강화해 대응하기로 했다. 주요 국가 직항편 게이트에서 검역을 실시하고 역학조사관과 공중보건의를 현장 배치한다. 또 홍보를 늘려 유증상자의 신고를 유도하고 이들이 신속하게 진단받도록 할 방침이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9일까지 국내에선 총 10명의 엠폭스 확진자가 나왔다. 지난해 151명과 비교하면 크게 줄었다. 올해 환자들은 모두 20∼40대 남성으로 국내 감염이 9명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