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지발가락에 통증있다면?…'통풍 의심' 검사해봐야

작년 통풍 환자 51만명…4년 새 17% 증가
환자 93%가 남성…"육류·술 섭취 줄여야"

 통풍 환자가 최근 4년 새 17%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라는 뜻에서 통풍(痛風)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 질병은 혈중 요산 농도가 높아져 요산 결정이 관절이나 인대 등 신체 조직에 침착돼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특히 엄지발가락에 통증이 있을 경우 의료기관을 찾아 검사받아야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현황에 따르면 작년 통풍 환자는 50만8천397명으로 4년 전인 2018년(43만3천984명)보다 17.2% 늘었다. 연평균 증감률은 4%다.

 작년 통풍 환자 중 남성은 47만1천569명(92.8%)으로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박진수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남성 통풍 환자가 많은 이유는 고기와 술을 많이 먹는 식습관과 연관이 될 수 있다"며 "여성의 경우 여성 호르몬이 요산 배출을 돕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통풍 환자가 적다"고 말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작년 전체 환자 중 40대가 22.9%(11만6천357명)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20.7%, 60대가 17.7%로 뒤를 이었다.

엄지발가락에 통증있다면?…'통풍 의심' 검사해봐야 - 2

 여성은 60대 환자가 22.1%(8천123명)로 가장 많았고, 50대 18.5%, 80세 이상 17.3% 순이었다.

 인구 10만 명당 통풍환자 진료인원은 작년 989명으로 2018년 850명 대비 16.4% 증가했다.

 통풍 환자 건강보험 진료비는 작년 1천202억원으로 2018년(924억원)보다 30.1%(278억원) 늘었다.

 건강보험공단은 "통풍을 예방하기 위해선 요산을 생성하는 퓨린 함량이 많은 술, 내장, 액상과당, 등푸른생선 섭취를 줄이고 물을 충분히 마셔 요산 농도를 조절해야 한다"며 "이미 통풍이 발생한 경우엔 전문의와 상의해 요산 수치 저하제를 복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엠폭스 국제 보건비상사태 선포에 질병청 "검역·감시 강화"
세계보건기구(WHO)가 엠폭스에 대해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PHEIC)을 다시 선포하자 우리 방역당국도 검역과 발생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6일 의료계와 학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엠폭스 위험평가 회의를 열고 엠폭스 국내 유입 가능성과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WHO는 최근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엠폭스가 다시 급증하고,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상황을 고려해 지난 14일(현지시간) 엠폭스에 대해 PHEIC을 선언했다. 지난해 5월 PHEIC을 해제한 지 1년 3개월 만이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와 전문가들은 국내 엠폭스 상황이 현재 방역체계에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하고, 지난 5월 해제한 엠폭스 위기경보의 재발령 없이 검역과 국내 감시를 강화해 대응하기로 했다. 주요 국가 직항편 게이트에서 검역을 실시하고 역학조사관과 공중보건의를 현장 배치한다. 또 홍보를 늘려 유증상자의 신고를 유도하고 이들이 신속하게 진단받도록 할 방침이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9일까지 국내에선 총 10명의 엠폭스 확진자가 나왔다. 지난해 151명과 비교하면 크게 줄었다. 올해 환자들은 모두 20∼40대 남성으로 국내 감염이 9명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