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 환자, 높은 심혈관질환 위험에 주의해야"

2만2천명 16년간 분석 결과 최대 1.6배↑
"유전·생활방식·환경요인이 복합 영향"

  통풍 환자는 뇌졸중과 심부전 등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림대의대 성심병원 권미정(병리학교실)·강호석(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2002~2019)를 이용해 통풍 환자 2만2천480명과 같은 수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통풍과 심혈관질환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12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내분비학 분야 국제학술지(Frontiers in endocrin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통풍(痛風)은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극심한 통증이 대표 증상인 질환이다.

 고기나 생선 등에 많이 들어있는 퓨린의 대사산물인 '요산'이 관절 및 관절 주위 조직에 침착되면서 발가락 관절, 발목관절이나 다리 등에 염증성 통증을 일으킨다.

 오랜 시간 방치하면 통풍 결절(혹)이 울퉁불퉁 튀어나와 신발조차 제대로 신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번 연구에서 통풍 환자의 연간 뇌졸중 발생률은 1천명당 9.84명으로 통풍이 없는 대조군의 8.41명보다 높았다.

 또 혈관이 막히는 허혈성 심장질환과 심장의 기능이 떨어져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심부전 발생률도 같은 조건에서 통풍 환자가 각각 9.77명, 2.47명으로 대조군의 8.41명, 1.46명을 상회했다.

 연구팀은 이 분석 결과로 볼 때 통풍 환자에게 뇌졸중, 허혈성 심장질환, 심부전이 발생할 위험이 대조군에 견줘 각각 1.11배, 1.28배. 1.64배 높은 것으로 추산했다.

통풍 환자에게 뇌졸중, 허혈성 심장질환, 심부전이 발생할 위험은 대조군보다 각각 1.11배, 1.28배. 1.64배 높은 것으로 추산됐다.[논문 발췌]

 특히 통풍 환자에게 심혈관질환이 생길 위험은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더 높아지는 특징을 보였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연구팀은 유전적인 요인과 생활방식, 환경적 요인 등이 통풍 환자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높이는 데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혈청 요산염이 높은 유전적인 특징과 체내 염증 관련 단백질 등의 상호 작용이 허혈성 심혈관질환과 심부전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통풍 치료는 급성기 염증을 최대한 빨리 완화하고 염증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장기적으로는 고요산혈증을 치료해 혈액 내 요산 농도를 유지하고 요산 침착에 의한 관절이나 장기 손상을 예방해야 한다. 가장 기본적인 치료법은 식이요법과 생활 습관 교정이다.

 식이요법으로는 과음이나 과식을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으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반드시 피해야 하는 음식으로는 내장(염통·간·콩팥 등), 과당이 많은 옥수수 시럽(corn syrup)이 함유된 음료수나 음식, 술이다.

 육류, 해산물(등푸른생선·조개), 천연 과일주스, 설탕, 단 음료와 디저트, 소금 등도 주의해야 한다.

반면 저지방이나 무지방 유제품과 채소 등은 통풍 예방에 도움이 된다.

 또한 땀을 적당히 흘릴 수 있는 빠르게 걷기, 자전거 타기, 가벼운 등산, 수영, 산책하기 등 유산소운동도 통풍 예방에 좋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텐트 시술 후 먹는 약, 아스피린보다 '클로피도그렐' 효과적"
관상동맥질환 환자가 흔히 '스텐트 시술'이라고 불리는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CI)을 받으면 재발을 막기 위해 아스피린을 평생 복용해야 한다. 그런데 국내 의료진이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서 아스피린보다 다른 약제인 '클로피도그렐'이 더 효과적임을 입증해 이를 세계적인 학술지 '랜싯'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삼성서울병원이 최근 전했다. 이 병원 순환기내과 한주용·송영빈·최기홍 교수와 삼성창원병원 순환기내과 박용환 교수 연구팀은 2020∼2023년 국내 26개 의료기관에서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 5천506명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항혈소판 치료를 끝낸 후 클로피도그렐을 복용한 2천752명과 아스피린을 복용한 2천754명을 2년간 추적 관찰했더니 클로피도그렐 복용 환자가 아스피린 복용군보다 사망 위험이 29%, 심근경색 발생 위험은 46% 낮았다. 출혈 발생률은 두 그룹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연구팀은 "클로피도그렐이 아스피린 대비 허혈성 사건을 줄이면서도 출혈 위험은 증가시키지 않아 매우 이상적인 결과가 도출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지난 30일(현지시간) 미국심장학회 연례 학술대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임상연구'로도 선정돼 한 교수가 전